대한항공이 25일 워싱턴 현지에서 보잉 차세대 고효율 항공기 103대 구매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19대 분량의 예비 엔진 구매 및 엔진 정비 서비스 계약도 추진한다. (왼쪽부터)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스테파니 포프(Stephanie Pope) 보잉 상용기 부문 사장 겸 최고 경영자, 하워드 러트닉(Howard Lutnick) 미국 상무부 장관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대한항공 제공
대한항공이 25일 워싱턴 현지에서 보잉 차세대 고효율 항공기 103대 구매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19대 분량의 예비 엔진 구매 및 엔진 정비 서비스 계약도 추진한다. (왼쪽부터)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스테파니 포프(Stephanie Pope) 보잉 상용기 부문 사장 겸 최고 경영자, 하워드 러트닉(Howard Lutnick) 미국 상무부 장관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대한항공 제공

국내 유일 국적 대형항공사(FSC)인 대한항공이 총 70조원 상당의 대미 투자계획을 발표했다.

미국 보잉사의 차세대 고효율 항공기 103대 도입(362억 달러·50조원)과 GE에어로스페이스의 예비엔진 및 엔진 서비스 구매(136억9000만 달러·19조2000억원) 등이 담겼다.

대한항공은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윌러드 호텔에서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스테파니 포프 보잉 상용기 부문 사장 겸 최고 경영자, 러셀 스톡스 GE에어로스페이스 상용기 엔진 및 서비스 사업부 사장 겸 최고 경영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양해각서(MOU) 체결식을 열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는 보잉 항공기 103대 구매와 예비엔진 19대 및 엔진 정비서비스 도입을 위한 양해각서(MOU)가 각각 체결됐다.

먼저 대한항공은 항공기 도입과 관련해서는 통합 이후 성장에 대비한 선제적 투자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이후 항공기 인도가 지연되면서 주요 항공사들이 항공기 주문 시점을 당기는 추세를 감안해 2030년대 중후반까지의 선제적 투자 전략을 수립했다는 것이다.

구매 기종은 777-9 20대, 787-10 25대, 737-10 50대, 777-8F 화물기 8대 등 103대로, 2030년 말까지 순차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이번 차세대 고효율 기종 도입에 따라 대한항공의 기단은 장기적으로 보잉사의 777, 787, 737과 에어버스사의 A350, A321-네오 등 5가지로 재편된다.

대한항공은 이번 MOU를 통해 안정적인 공급 증대와 기단 단순화를 통한 규모의 경제를 누리게 됐다고 밝혔다. 또 고효율 신기재 도입을 통한 연료 효율성을 제고하고 탄소 배출량 저감 효과도 누릴 수 있게 됐다.

이와 별도로 대한항공은 GE 에어로스페이스 및 CFM사로부터 각각 항공기 11대분과 8대분의 예비 엔진도 구매한다. GE에어로스페이스로부터는 20년간 항공기 28대에 대한 엔진 정비 서비스도 받게 된다. 안정적인 항공기 운영 및 안전을 위한 과감한 투자의 일환이라고 대한항공은 설명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대표 국적항공사로서 여객 및 화물운송을 통해 한국과 미국을 긴밀히 연결하는 역할을 다 하겠다"며 "지속적인 대미 투자를 통해 한미 양국 간의 우호적 관계를 증진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대한항공은 보잉 이외에도 프랫 앤 휘트니, 제너럴일렉트릭(GE), 해밀턴 선드스트랜드, 허니웰 등 미국 항공 관련 기업들과 다양한 형태로 협력 중이다.

또 1971년 4월 최초의 미국행 화물 정기노선(서울∼도쿄∼로스앤젤레스)을, 1972년 4월에는 최초의 여객 노선(서울∼도쿄∼호놀룰루∼로스앤젤레스)을 개설했다.

[스트레이트뉴스 함영원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