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애플, 삼성전자에 5년 내 RE100 이행 요구
반도체 부문 재생에너지 연간 1% 내외 전환 속도
올해 전환율 목표 26%…부족분, REC 구매 부담

지난 6월18일 용인 원삼 반도체 주민생계조합과 용인반도체일반산업단지에 접한 9개 마을 주민들이 정당한 피해보상을 요구하며 트랙터 시위를 벌였다. 뉴스1
지난 6월18일 용인 원삼 반도체 주민생계조합과 용인반도체일반산업단지에 접한 9개 마을 주민들이 정당한 피해보상을 요구하며 트랙터 시위를 벌였다. 뉴스1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의 더딘 재생에너지 전환 속도가 발등의 불이 되고 있다. 주요 고객사인 구글과 애플이 RE100(재생에너지 100%)을 요구하면서, 삼성전자는 목표 달성을 위해 비싼 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를 구매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DS) 재생에너지 전환율이 작년 24.8%로 매년 1% 내외 전환 속도를 보인다. 구글이나 애플의 RE100 요구 기한은 5년 내이기 때문에 이들 물량은 RE100을 100% 충족한 미국 공장에서 대부분 소화될 수 있다. 미국의 고율 관세는 이러한 전망에 힘을 싣는다.

구글은 2029년까지, 애플은 2030년까지 삼성전자에 RE100 이행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비해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 신재생에너지 전환율은 2022년 23.2%, 2023년 24.3%, 2024년 24.8%에 그쳤다. 올해 목표도 26%로 잡고 있어, 기존 흐름과 다르지 않다.

삼성전자는 미국 공장에선 REC를 구매해 RE100을 충족했다. 다만, 실질적 재생에너지 발전 확대를 유도하지 못했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 국내선 REC 구매 비용이 높고 관련 제도도 미비한 실정이라, 삼성전자는 전력구매계약(PPA) 중심으로 재생에너지를 확보해 나가고 있다. 그런데 PPA 비중이 적고 확보하는 속도도 느리기 때문에 단기간 내 RE100 달성이 요구되면, 비싼 비용을 치러서라도 REC를 구매해야 하는 형편이다.

정부·여당은 국내 REC 제도 개선을 위해 힘쓰고 있다. 태양광 REC에 가중치를 확대하고 전력시장 가격(SMP)이 음의 값을 기록해도 고정가격을 적용해 사업자의 수익 안정성을 높여 시장을 활성화는 방안 등이다. 그럼에도 미국 사례처럼 국제 RE100 기준을 만족하려면, 국내 REC의 신뢰성 등 품질이 높아져야 하는 과제도 지목된다.

신재생에너지 직접 사용이 최선이지만 갈 길이 멀다. 현 정부가 RE100 에너지 고속도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경우 지역 내 환경단체(경기환경운동연합)가 국토교통부를 상대로 승인 처분 무효 행정소송을 걸었다. 정부가 패소해도 이미 건설된 시설을 철거하는 경제적 부담을 고려하면 재판부는 환경성 보완 조치 등을 요구할 듯 보인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전력수급계획은 1단계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로 충당하고, 2단계 호남지역과 동해안에 송전선로를 짓고, 3단계 전력 계통망 및 전력기술 발전을 고려해 추후 대안을 마련한다는 내용이다.  환경단체는 1단계 LNG발전소로 반도체 클러스터 전력 문제를 해결하려는 데 반대하고 있다. 지방에서 전력을 끌어와 수도권에 조달하는 과정의 송전망 건설 등 2단계에 대한 지역갈등도 확산하는 중이다.

유재국 입법조사처 경제산업조사실 산업자원농수산팀 선임연구관은 “유틸리티는 대부분 지방에 있는데 일자리와 세수는 산업단지가 입지한 수도권에 집중돼, 반도체 산업단지 개발이 송전선 등 갈등 요인을 발생시키고 지역균형발전에도 역행할 수 있다”며 전력 공급 리스크를 짚었다.

[스트레이트뉴스 이재영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