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경미‧정성홍 여론조사 불참 성명 이어 이정선 교육감도 ‘참여 않겠다’ 입장 밝혀
내년 교육감 선거 출마가 예상되는 김용태 후보(전 전자고 교장)의 ‘노무현’ 직함 사용으로 빚어진 파문이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다.
지난 4일 오경미(전 광주교육청 교육국장) 후보와 정성홍(전 전교조 광주지부장) 출마예상 후보가 김용태 후보의 노무현 직함 사용에 반발하여 향후 모든 여론조사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성명서를 발표한데 이어 7일 이정선 현 교육감도 이를 문제삼아 여론조사 불참 입장문을 발표했다.
출마예상 4인 후보들 중 김용태 후보를 제외한 3인이 모두 현행 방식대로라면 모든 여론조사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이들이 강경하게 반발하고 있는데는 김용태 후보가 여론조사에서 ‘노무현 재단 광주지역위원회 시민학교장’ 직함을 사용할 때와 그렇지 않을 때 1위에서 꼴찌까지 널뛰기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근거로 3인 출마 예상자들은 ‘노무현’ 직함 사용이 여론조사의 공정성을 해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오경미, 정성홍 후보는 공동발표 성명서에서 “후보들은 교육과 무관한 정치적 인물의 이름을 여론조사 경력에 사용하는 행위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하며 “선관위는 정치와 교육의 분리라는 법 취지에 부합되게 전 대통령 및 정치인의 이름을 직함으로 활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명확한 지침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일부 언론과 여론조사 기관들은 특정 정치인을 연상시키는 직함 표기를 지양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정선 광주 교육감도 입장문을 통해 “최근 뉴스1에서 실시한 광주광역시 교육감 관련 여론조사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 특정 정치인의 이름을 직함으로 사용하여 정치적 상징을 끌어들이는 조사, 그리고 일부 후보만을 대상으로 하여 공정성을 잃은 조사는 모두 교육감 선거의 취지와 민주적 원칙을 훼손하는 행위이다” 며 “공정성과 객관성을 담보한 조사 방식으로 개선해야 하며, 정치적 상징을 배제하고 모든 후보가 동등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명확한 지침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여론조사 ‘노무현’ 직함 사용 논란이 쟁점화되며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2~3일 동안 여론조사를 진행한 뉴스1은 아직 명확한 입장을 세우지 않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8일 뉴스1 관계자는 “논란을 주시하고 있다. 결과를 발표할지 말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내부 논의를 통해 결정할 예정이다”고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스트레이트뉴스 광주=박호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