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50대 운영 무질서·사고 우려
거점 주차·무관용 단속 등 대책 제안
진주시의회에서 도심 곳곳에 방치된 공유 전동킥보드의 무질서 문제를 지적하며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강묘영 진주시의원은 지난 9일 열린 임시회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전동킥보드는 편리한 차세대 교통수단이지만, 주차 무질서와 불법 운행으로 시민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애물단지가 되고 있다”며 제도적 개선 필요성을 강조했다.
현재 진주에는 6개 업체에서 1650대 이상의 공유형 전동킥보드가 운영 중이다. 그러나 점자블록이나 횡단보도 앞, 버스정류장 한가운데 무단 방치되거나 안전모 없이 2명이 탑승하는 모습, 청소년의 무면허 운행 등이 빈번하게 목격돼 시민 불안을 키우고 있다.
전국적으로도 사고가 급증하고 있다. 경찰청 자료에 따르면 개인형 이동장치(PM) 관련 사고는 2018년 225건에서 2023년 2389건으로 10배 이상 늘었으며 같은 기간 24명이 사망했다.
특히 서울시의 여론조사에서는 시민의 90%가 공유형 전동킥보드를 부정적으로 인식했고, 75%는 민간 대여 킥보드 운영 금지를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 의원은 ▲상업지구·환승정류장·대학가 등에 지정 주차구역을 단계적으로 확충하고 구역 외 반납은 차단할 것 ▲어린이보호구역, 전통시장 등 취약 지역은 속도를 강제 저속화하거나 주행을 전면 제한할 것 ▲안전모 미착용, 무면허, 2인 탑승, 인도 주행 등 위반 행위는 무관용 단속할 것 ▲면허 소지자 안전교육 정례화와 학교·직장 연계 캠페인을 통해 이용 문화를 개선할 것 등 4가지 대책을 제안했다.
이어 강 의원은 “안전은 행정과 사업자, 시민 모두의 책임”이라며 “진주시가 질서 있는 이용 문화를 선도해 전동킥보드를 위험이 아닌 자산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트레이트뉴스 경남=김기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