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417만대 판매…2030년 555만대·생산기지 확대
올해 16조1000억 투자…5년간 77조3000억원 목표

호세 무뇨스 현대자동차 대표이사(CEO) 사장이 '2025 현대차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발표하고 있다. 현대자동차 제공
호세 무뇨스 현대자동차 대표이사(CEO) 사장이 '2025 현대차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발표하고 있다. 현대자동차 제공

현대자동차가 1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맨해튼에 위치한 '더 셰드'에서 글로벌 투자자, 애널리스트, 신용평가사 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2025 CEO 인베스터 데이'를 열고 중장기 전략과 재무 계획을 발표했다.

온라인 채널을 통해서도 생중계(링크)된 이번 행사에서는 현대차 호세 무뇨스 대표이사(CEO) 사장과 이승조 재경본부장(CFO) 부사장, 김창환 전동화에너지솔루션담당 부사장, 유지한 차량아키텍처&인테그레이션센터장 겸 자율주행개발센터장 전무 등이 발표자로 나서 현대차의 미래 전략에 대해 설명했다.

현대차는 하이브리드(HEV), 현지전략 전기차(EV),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 등 친환경 신차를 내년부터 대거 출시하는 것에 나아가 차세대 전기차 플랫폼 도입해 후속 수소전기차(FCEV) 개발 등 지속적인 친환경차 라인업 강화를 통해 불확실성의 파고를 넘어 2030년 글로벌 자동차 판매 555만대 달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본격 생산을 시작한 미국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HMGMA)에 더해 향후 가동될 인도 푸네공장, 울산 신공장 등 혁신 생산기지들이 현대차의 글로벌 판매 성장을 뒷받침할 근간이 될 예정이다. 현대차는 내년부터 2030년까지 5개년 동안 77조3000억원의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다는 방침이다.

호세 무뇨스 사장은 "현대차는 글로벌 판매량 확대 및 생산 거점 확보, 다각화된 포트폴리오, 현지화된 운영체계, 그룹사 시너지 등을 바탕으로 글로벌 자동차그룹 톱(top) 3라는 위치에 올랐다"며 "불확실성의 시기를 다시 마주했으나 이전의 경험처럼 또 한 번 위기를 극복하고 변화를 주도하는 미래 모빌리티 회사로 거듭 나겠다"고 밝혔다.


◇ 하이브리드, 현지전략 EV 등 친환경차 라인업 강화 박차


현대차는 전기차 수요 정체의 반사이익이 집중되고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라인업을 2030년까지 엔트리부터 중형, 대형, 럭셔리를 포괄해 18개 이상으로 확대하며 시장 수요 변화에 적극 대응하기로 했다. 현재보다 2배 이상의 하이브리드 라인업을 구축하겠다는 의미다. 

현대차그룹의 첫 후륜(RWD) 기반이자 제네시스 브랜드 최초인 럭셔리 하이브리드 차량을 내년 출시하고 추후 합리적 가격을 갖춘 엔트리 하이브리드 개발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현대차는 올해 출시된 팰리세이드부터 도입을 시작한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확대 적용해 보다 향상된 주행 성능과 연료효율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하이브리드 고전압 배터리를 활용해 엔진 시동 없이도 전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테이 모드와 V2L 기능 등 다채로운 전동화 경험을 소비자에게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현대차는 아이오닉 5, 아이오닉 6, 아이오닉 9 등 E-GMP 전용 전기차를 출시한데 이어 현지 특화 상품성을 갖춘 신형 전기차들을 유럽, 중국, 인도 시장에 순차적으로 선보이며 캐즘 극복을 적극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먼저 내년 유럽 시장에 '아이오닉 3'를 출시한다. 아이오닉 3는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적용할 완전히 새로운 전기차로, 현대차는 지난 9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에서 열린 'IAA 모빌리티 2025'에서 아이오닉 브랜드의 첫 소형 EV 콘셉트카 '콘셉트 쓰리'를 공개하며 내년 출시될 아이오닉 3에 대한 기대감을 높인 바 있다.

다음으로 현대차는 전기차 스타트업들의 지속적인 도전으로 치열한 EV 경쟁이 펼쳐지고 있는 중국 시장에서는 올해 준중형(글로벌 C 세그먼트) 전동화 SUV '일렉시오'를 선보이는데 이어 준중형 전동화 세단을 내년 내놓기로 했다. 두 차종 모두 중국에서 생산되는 현지전략 EV다.

2027년 인도 시장에서는 현지 전략 경형급(글로벌 A+ 세그먼트) SUV 전기차를 선보인다. 인도 소비자를 매혹할 맞춤 디자인과 우수한 상품성을 갖출 첫 인도 특화 EV로, 현대차는 인도 현지 공급망을 바탕으로 차량을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CEO 인베스터 데이를 통해 처음 전략을 공개한 EREV는 현대차만의 고성능 배터리 및 모터 기술력을 바탕으로 2027년 출시된다. 현대차는 기존 전기차 대비 55% 작은 용량의 배터리를 채택해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면서 EREV를 합리적인 가격으로 소비자들에게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수소전기차 분야 역량도 강화한다. 현대차는 글로벌 수소전기차 시장 누적 점유율 57.5%를 차지하는 선도 업체다. 올해 2세대 넥쏘를 출시한 데 이어 향후 내연기관과 동등한 수준의 주행성능과 내구성을 갖춘 차세대 수소전기차를 지속 개발하는 한편 승용, 상용을 아울러 FCEV 시장 확대에 집중하기로 했다.

아울러 현대차는 파워트레인 기술력 강화와 함께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로의 전환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차량 하드웨어를 표준화·단순화해 복잡성을 줄이고 유연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CODA와 차량 운영체제 'Pleos Vehicle OS(플레오스 비히클 오에스)'를 적용해 새로운 서비스와 기능을 신속히 반영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내년까지 SDV 페이스 카 개발 프로젝트를 완료하고 양산차에 확대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내년 2분기에는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Pleos Connect(플레오스 커넥트)'가 적용된 차량들이 처음 출시될 예정이다.


 ◇ 올해 417만대 판매 목표…2030년 555만대 판매 목표·혁신 생산기지 확대 뒷받침


현대차는 올해 판매 목표치도 제시했다. 제네시스를 포함해 올해 417만대를 팔아 관세 부담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우수한 상품성과 친환경차 라인업 확대 등을 바탕으로 지난해(414만대) 대비 판매 성장을 달성하기로 했다. 

이어 5년 뒤인 2030년에는 555만대를 글로벌 시장에 판매하겠다는 계획이다. 첨단 제조 혁신 기술을 갖춘 글로벌 생산 기지의 확장을 통해 2030년까지 생산능력을 120만대 추가로 확보하면서 판매 성장을 뒷받침할 예정이다.

또 현대차는 새롭게 추가될 생산기지뿐만 아니라 기존 공장들도 지속 개선해 소프트웨어 중심 공장(SDF)으로 전환하며 생산 전 과정의 데이터를 최신 자동화·AI·IT 기술을 기반으로 디지털화해 운영에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현대차는 특별히 북미 특화 전략을 내놨다. 현대차가 이번 CEO 인베스터 데이를 처음으로 해외에서 개최한 가운데 첫 장소를 뉴욕으로 정한 것도 최대 자동차 시장인 미국을 겨냥한 결정이다.

북미 시장은 올해 상반기 현대차가 글로벌 시장에 판 207만대 중 30%(약 61만대)가 판매된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특히 제네시스 및 SUV 등 고부가가치 차종의 인기가 높아 매출 기준 비중은 38%에 육박하는 중요 시장이다.

이에 현대차는 미국 시장에서 판매되는 자동차 중 현지에서 생산되는 차량 비중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방침으로, 이를 위해 미국 내 두 생산기지인 앨라배마 공장과 HMGMA의 가동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아울러 현지 공급망 대응력도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먼저 2021년 출시한 북미 전용 준중형 픽업트럭 '싼타크루즈'의 성공을 이을 중형 픽업트럭을 2030년 이전까지 현지 시장에 선보이기로 했다.

또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과 트레일러 법인 현대트랜스리드의 우수한 트레일러 상품, 이르면 2028년 미국 현지 생산이 시작되는 전기 상용 밴 등을 앞세워 북미 상용차 시장 공략을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특히 미국 제네럴 모터스(GM)와 2028년 출시를 목표로 5개 차종에 대한 공동 개발도 진행하고 있다. 중남미 시장 대응을 위한 중형 픽업, 소형 SUV, 소형 승용, 소형 픽업 4종과 북미 시장용 전기 상용 밴 등으로, 향후 해당 차량들의 양산이 본격화되면 연간 80만대 이상의 생산 및 판매가 진행될 전망이다.


◇ 내년부터 5년간 77조3000억원 투자 … 올해 영업이익률은 1%p 낮춰


현대차는 올해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2026~2030년 5개년 간 77조3000억원을 투자하고 △2030년 연결 기준 영업이익률 8~9%를 달성하는 내용의 중장기 재무 전략을 발표했다.

우선 올해 초 제시했던 '2025년 연결 기준 연간 가이던스'를 수정 발표했다. 전년 대비 연결 매출액 성장률 목표는 올해 초 제시한 3.0~4.0%에서 5.0~6.0%로 2%p 상향했지만 연결 부문 영업이익률 목표는 관세 영향을 반영해 기존 7.0~8.0% 대비 1%p 하향한 6.0~7.0%로 설정했다. 올해 투자 계획도 기존 제시한 16조9000억원에서 16조1000억원으로 수정했다.

현대차는 향후 5년(2026~2030년) 동안에 △연구개발(R&D) 투자 30조9000억원 △설비투자(CAPEX) 38조3000억원 △전략투자 8조1000억원 등 77조3000억원에 달하는 투자로 불확실성을 타개하며 사업을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현지화 전략 실행 및 SDV, 소프트웨어 경쟁력 강화 등에 집중 투자 예정이다.

이번 투자 계획은 지난해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제시했던 2026~2030년 투자 계획인 70조3000억원(△R&D 29조원 △CAPEX 33조3000억원 △전략투자 8조원)을 수정한 것으로, 전체 투자 규모가 7조원 늘어났다.

최대 시장인 미국 투자도 적극 추진한다. 현대차의 미국 투자 금액은 기존 11조6000억원(88억달러) 수준에서 향후 15조3000억원(116억달러)로, 3조7000억원(28억달러) 늘어날 예정이다.

[스트레이트뉴스 함영원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