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평균 1.2억원…전체 평균 9600만원
국힘 박성훈 "국가 경제 위협하는 뇌관…안전판 마련해야"

막바지 공사가 한창인 서울의 한 아파트 단지. 김태현 기자
막바지 공사가 한창인 서울의 한 아파트 단지. 김태현 기자

국내 가계대출 차주의 대출 잔액이 1인당 평균 9700만원을 기록, 1억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제 허리인 40대 차주의 평균 대출은 1억2000만원을 넘어 대책이 필요해보인다.

한국은행이 28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가계대출 차주의 1인당 평균 대출 잔액은 9660만원으로 집계됐다.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12년 이후 최대치다.

2023년 2분기 9332만원 수준이었던 1인당 대출 잔액은 지난해 2분기 9428만원을 기록하더니 8분기 연속 증가세를 보여 1억원을 향해 가고 있다.

전체 차주 숫자는 지난해 2분기 1972만1000명에서 올해 2분기 1970만8000명으로 줄었으나, 대출 잔액은 1859조3000억원에서 1903조7000억원으로 오히려 늘어 1인당 평균치가 커졌다.

대출 잔액은 5년 전인 2020년 2분기 1692조3000억원에서 같은 해 3분기 1700조원, 2021년 2분기 1800억원 등으로 계속 불어나는 추세였다. 최근에도 지난해 1분기 1852억8000만원 이후 5분기 연속 증가세다.

연령대별로는 올해 2분기 40대의 1인당 가계대출 잔액이 1억2100만원에 달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가운데, 30대 이하(8450만원)도 역대 최대였다. 아파트 가격 상승을 잡으려는 이른바 ‘영끌’ 투자의 결과로 풀이된다.

50대는 1인당 평균 9920만원으로, 2022년 4분기(9940만원) 이후 2년 6개월 만에 최고치를 넘어섰고, 60대 이상은 지난해 4분기 8590만원에서 올해 1분기 8560만원으로 줄었다가 2분기 8580만원으로 다시 늘었다.

특히 고령층에서는 취약차주 증가세가 문제로 지적된다.

올해 2분기 60대 이상 취약차주 수는 24만9000명으로, 전 분기(23만6000명)보다 1만3000명 늘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50대 취약차주도 32만3000명으로 역대 최대였다.

반면 30대 이하는 44만6000명으로 전 분기와 같았고, 40대는 36만5000명으로 소폭 줄었다.

취약차주는 금융기관 3곳 이상에서 대출을 이용한 다중채무자이면서 소득 하위 30%의 저소득 또는 신용점수 664점 이하의 저신용 차주를 말한다.

박성훈 의원은 "가계부채는 국가 경제 전체를 위협하는 구조적 뇌관"이라며 "정부는 금융 취약계층을 위해 실질적인 안전판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장석진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