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하이브 상장 과정에서 제기된 방시혁 의장 관련 논란은 단순한 주가조작 의혹을 넘어 자본시장 규제의 취지와 적용 범위를 가늠하는 중요한 사례로 떠올랐다. 스트레이트뉴스는 당시 투자자들의 매각 배경, 법적 쟁점, 자금 사용처 등을 종합적으로 짚어 독자들이 사실관계와 논란의 본질을 균형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하이브 사옥 전경. 하이브 제공
하이브 사옥 전경. 하이브 제공

하이브 방시혁 의장을 둘러싼 논란의 첫 번째 쟁점은 ‘기존 투자자 기망 여부’다. 금융당국은 방 의장이 상장 가능성을 축소해 말함으로써 초기 투자자들에게 지분 매각을 유도했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실제 거래에 참여한 투자자들의 행적과 수익 구조를 살펴보면 상황은 단순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주요 투자자들의 매각 시점과 결과를 분석하면 이들은 ‘피해자’라기보다는 ‘성공적 엑시트(회수)’에 가까웠다. LB인베스트먼트는 65억원 투자로 1151억원을 회수하며 1671%라는 기록적인 수익률을 거뒀다. 레전드캐피탈은 일부 지분만 매각하고 상당량을 IPO 시점까지 보유해 더 큰 차익을 실현했다. 알펜루트자산운용도 보유 지분을 넘기며 1년 반 만에 500억원 이상 현금을 확보했다.

투자자들의 매각 배경에는 각자마다 절박한 내부 사정이 있었다. LB인베스트먼트는 펀드 만기와 자체 IPO를 동시에 앞두고 있어 현금화가 불가피했다. 알펜루트는 라임 사태 여파로 환매 압박에 시달리며 지분을 서둘러 매각해야 했다. 레전드캐피탈 역시 만기가 다가오는 상황에서 LP들의 포트폴리오 조정 요구를 받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하이브에 지정감사 신청을 요청했다.

즉 이들의 지분 매각은 방 의장이 투자자들을 속였기 때문이 아니라 투자자 스스로 펀드 만기와 환매 압력에 대응하기 위한 선택이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실제로 일부 투자자는 지분을 끝까지 보유해 상장 이후 더 큰 차익을 남겼다. 만약 ‘상장이 불가능하다’는 말을 그대로 믿었다면, 잔여 지분을 들고 있을 이유가 없었다는 것이 업계 의견이다.

더욱이 투자자들은 전문성을 갖춘 금융기관이었다. 이들은 엔터 산업 특성, BTS의 성장세, 글로벌 음악시장의 변동성 등을 고려해 매각 여부를 판단했다. 사모펀드를 운용하는 기관투자가가 단순 발언 하나에 좌우돼 수천억원 거래를 결정했다는 주장은 현실성이 매우 낮다는 분석이다.

결과적으로 투자자들은 모두 투자금을 훨씬 웃도는 회수 성과를 거뒀다. 당국이 주장하는 ‘피해자’ 존재가 불분명한 이유다. 오히려 LB인베스트먼트는 언론 인터뷰에서 “빅히트 투자로 1000억원 이상 수익을 올렸다”고 자랑할 정도였다.

법조계 관계자들은 “주식 매각은 본질적으로 투자자의 위험 분산과 회수 전략에 따른 결정”이라며 “이 사건에서 매도자들은 손해보다 이익을 챙겼다는 점에서 기망 피해자로 보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엔터 산업의 불확실성도 고려해야 한다. 당시 하이브는 BTS에 의존하는 ‘원툴 기업’이었고, 군 입대 문제 등으로 투자 매력이 낮다는 평가도 있었다. 기업가치 산정도 쉽지 않아 IPO 여부를 장담하기 힘든 상황이었다. 결국 매도와 보유는 각 투자자가 감수할 리스크의 크기를 두고 내린 경제적인 선택이었다는 것이 중론이다.

이 사건을 ‘속임수에 당했다’기보다 각자의 자금 상황과 위험 선호도에 따라 다른 결정을 내린 결과로 풀이되는 이유다. 어떤 투자자는 단기 현금화를 택했고, 다른 투자자는 상장을 기다리며 장기 이익을 챙겼다. 투자 행위의 다양성이 그대로 드러난 셈이다.

따라서 금융당국의 주장처럼 ‘방 의장이 투자자들을 속였다’는 프레임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객관적 사실만 놓고 보면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할 만한 투자자는 없었고, 오히려 이익을 본 성공적 사례가 대부분이었다.

결국 첫 번째 쟁점은 ‘기존 투자자 피해’가 아니라 ‘투자자 이익 실현’으로 정리된다. 이는 사건 전체를 바라보는 시각에 중요한 균형점을 제시한다. 만약 피해자가 없는 거래라면 사법적 판단을 끌어오기보다 제도적 보완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스트레이트뉴스 박응서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하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