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하반기 인재 확보에 나섰다. 연합뉴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하반기 인재 확보에 나섰다. 연합뉴스

AI 시대 가속화로 반도체 '슈퍼 사이클(초호황기)'이 가시화한 가운데 국내 반도체 양강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차세대 기술 선점을 위해 인재 확보에 총력을 기울인다.

3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오는 15일까지 경력직 채용 홈페이지 '10월 월간 하이닉스 탤런트'를 통해 경력사원 채용 원서를 접수한다.

모집 분야는 HBM(고대역폭메모리) 회로 설계, 설계 검증, 설루션 설계 등 10개 직무다. 합격자는 경기도 이천·분당 캠퍼스에서 근무하게 되며 채용 규모는 두 자릿수다.

SK하이닉스는 이번 경력 채용에서 설계 분야 인재를 적극적으로 영입할 전망이다. 최근 고성능 AI(인공지능) 모델이 요구되는 글로벌 시장 환경에서 메모리 반도체와 시스템 반도체 역량을 결합한 설루션을 제공하는 역량이 핵심 경쟁력으로 부상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AI 서버·모바일·자율주행·로봇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최적화된 제품을 선보이기 위해 우수한 설계 인력을 채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SK하이닉스는 경력직뿐만 아니라 신입 채용 절차도 병행하고 있다. 설계, 소자, 연구개발(R&D) 공정, 양산 기술 등 직무에 세 자릿수 규모로 채용한다.

삼성전자는 하반기 신입사원 채용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오는 25일 삼성직무적성검사(GSAT) 실시 후 면접 등의 절차가 이어진다. 

합격자들은 내년 상반기 입사한 뒤 각 사업부에 배치돼 공정 개발, 회로 설계 등의 직무를 담당하게 될 예정이다.

이 같은 인재 확보 움직임은 반도체 슈퍼사이클 재현에 대응하려는 취지로 풀이된다. 차세대 메모리 기술을 개발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인재를 채용하는 게 중요하다는 판단이다.

AI 시대 본격화로 HBM을 비롯한 고성능 반도체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반도체 업황은 향후 2~3년간 성장 국면을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실제로 모건스탠리는 최근 '메모리 슈퍼사이클'이란 보고서를 통해 "HBM을 둘러싼 기회가 업계 성장률을 앞서고 있고 AI 서버와 모바일 D램 수요 덕분에 일반 메모리칩의 가격 변동률이 다시 가속하고 있다"며 사이클의 정점으로 2027년을 꼽기도 했다.

[스트레이트뉴스 함영원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