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현대·신세계, 재고는 떠넘기고 이익만 챙겨
국내 대형백화점 3사인 롯데·현대·신세계가 여전히 납품업체에 재고 부담을 전가하는 ‘특약매입’ 거래에 과도하게 의존한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양수 의원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이들 백화점의 특약매입 거래 비중은 평균 59.9%로 나타났다.
이는 유통업체가 상품을 외상으로 들여오고, 판매된 만큼만 대금을 지급하는 구조로, 팔리지 않은 재고의 책임은 납품업체가 지게 되는 불공정성이 내재된 방식이다.
백화점 3사의 특약매입 비중은 2021년 63.4%, 2022년 62.5%, 2023년 61.4%로 소폭 줄었지만 여전히 전체 거래의 절반을 넘어섰다.
지난해 기준으로 현대백화점이 62.1%로 가장 높았고, 롯데 61.6%, 신세계 56.0% 순이었다. 최근 4년 평균 역시 현대가 64.7%, 롯데 63.4%, 신세계 57.3%로, 업계 전반에 뿌리 깊은 구조적 관행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역설적이게도 백화점 매출은 꾸준히 늘었다. 롯데는 2021년 10조4537억원에서 2024년 11조6148억원으로, 현대는 8조4786억원에서 8조6627억원으로, 신세계는 8조6063억원에서 10조9512억원으로 상승해 3사 평균 13.4%의 매출 증가율을 기록했다.
매출이 늘어도 납품업체의 부담은 여전하다는 점에서 ‘갑질 거래’라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는다.
반면 대형마트들은 직접 재고를 떠안는 ‘직매입’ 비중이 훨씬 높아 백화점과 대조적이다. 2021∼2024년 평균 직매입 비중은 이마트가 88.0%, 홈플러스 77.8%, 롯데마트 81.0%로, 특약매입 비중은 고작 10.6%에 그쳤다.
백화점 업계가 여전히 협력업체에 비용과 위험을 떠넘기는 낡은 거래 관행을 개선하지 않는다면, ‘고급 소비 공간’이라는 이미지는 공허한 장식에 그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