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아반떼. 현대자동차그룹 제공
현대자동차 아반떼. 현대자동차그룹 제공

현대차 준중형 세단 아반떼가 레저용 차량(RV)의 전성기 속에서도 역주행 인기를 보이고 있다. 2030 세대의 실용적 선택이라는 분석이 있지만, 그 이면에는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 위축이 미세하게 반영됐다는 시각도 있다.

6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지난 9월 아반떼 신규 등록 대수는 6890대로, 쏘렌토(8940대)·카니발(6996대)에 이어 전체 3위를 기록했다.

SUV 전성시대를 주도하는 싼타페·스포티지·투싼뿐 아니라, 세단 대표 모델인 그랜저·쏘나타를 모두 앞선 성적이다.

특히 8월에는 국산·수입차 전체를 통틀어 등록 대수 1위를 차지하며 2022년 4월 이후 3년 4개월 만에 ‘국민차’ 자리를 되찾았다.

올해 1∼9월 누적 61253대로 이미 3위를 굳힌 점을 감안하면, 지난해 8위에 머물렀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역주행 인기’가 자동차 시장의 건강성을 보여주는 지표로만 보기는 어렵다는 분석이다. SUV나 전기차로 빠르게 이동하는 소비 트렌드 속에서 아반떼의 약진은 오히려 경기침체 속 ‘가성비 소비’의 상징으로 읽힌다.

한 단계 위인 쏘나타급 편의사양을 갖추면서도 가격이 낮고 연비까지 좋은 점이 선택 이유지만, 이는 소비자가 대형차나 고유가 시대의 부담을 감내하지 못하고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아반떼의 돌풍은 현대차의 저가·실속 전략이 통했다기보다, 소비심리 위축이 만든 일시적 착시 효과일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소의 분석이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