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행정부 관세정책 및 연방정부 셧다운 등 영향
프랑스 정치 불안도 한 몫...“변동성 커 투자 유의” 목소리도

KRX금시장(출처=한국거래소)
KRX금시장(출처=한국거래소)

금 가격이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과 프랑스 정치 위기 등에 따른 투자자들의 안전 자산 선호 심리와 미국 금리 인하 예상 등에 따른 인플레이션 헷지 투자에 힘입어 사상 첫 4000달러를 돌파했다.

8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이날 금 현물 가격은 장중 한 때 사상 최고치인 트로이온스(31.1034768g)당 4000.96 달러를 기록했다.

12월 인도분 미국 금 선물 가격도 트로이온스 당 4020.00달러로 0.4% 상승하며 사상 처음으로 4000달러를 돌파했다.

금 가격은 올 들어 사상 최고가 기록을 수시로 갈아치우며 52% 올랐다.

다른 귀금속 가격도 동조화를 보이며, 은이 연초 대비 약 60% 오른 트로이 온스당 48달러 가까이에서 거래됐다.

금값 상승의 원인으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을 비롯한 글로벌 불확실성 증대에 따른 안전자산 수요 급증이 대두된다.

또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 2주째로 접어든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에 따른 대규모 실업 가능성, 유로권에서 가장 심한 재정적자를 겪고 있는 프랑스의 정치적 불안 가중 상황도 투자자들이 금을 찾는 이유로 거론된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의 경우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가운데 9월에 금 매입을 이어가며 11개월 연속 순매수세를 기록했다고 블룸버그는 보도했다.

다만 글로벌 투자은행 UBS 등에서 금 가격 변동성을 10~15%로 언급하며 투자자들의 주의를 환기하기도 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장석진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