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글 3년새 44% 급등…인기 ‘소금빵’ 3000원대
재료비·인건비 올라 개인 빵집 적자 허덕여
추석을 지나며 물가 상승에 대한 고민이 커지는 가운데, 빵값 급등이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베이글 가격이 3년새 50% 가까이 올랐지만 재료비와 인건비 상승으로 오히려 개인 빵집은 적자를 면치 못하는 신세다.
9일 한국신용데이터(KCD)의 '베이커리 시장 트렌드 리포트'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월평균 판매 비중이 가장 높은 빵은 소금빵(15.7%)이었다. 샌드위치(15.0%), 식빵(7.2%), 크루아상(5.3%), 베이글(5.2%) 등이 뒤를 이었다.
이 중 올해 상반기 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빵은 베이글이었다.
KCD에 따르면, 베이글은 지난 6월 말 기준 중위 가격(가장 중간에 위치하는 가격)이 4400원∼4900원으로, 2022년 6월 대비 44%나 뛰었다.
샌드위치(7500원∼8300원·32%)와 소금빵(3300원∼3700원·30%)도 30%대 증가율을 보였다.
KCD 분석에 의하면 소금빵은 2022년 하반기만 해도 2000원∼2500원대를 책정한 매장이 많았으나, 이후 가격이 꾸준히 오르면서 현재는 3000원∼3500원대가 주를 이룬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8월 빵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8월보다 6.5% 상승했다. 2022년 6월 대비로는 19.4% 뛰었다. 베이글, 샌드위치, 소금빵 가격은 이 기간 평균 빵값보다 배 이상 많이 뛰었다.
문제는 빵값 상승에도 제과점과 카페 업종의 수익성이 점차 떨어지는 점이다.
KCD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베이커리·제과점' 업종의 월 평균 매출은 약 907만원이다. 하지만 최근 2년간 매출 감소세가 이어지다 적자 전환했다. 임대료·재료비·인건비 등 비용이 매출액을 넘어선 탓이다.
대형 프랜차이즈는 매출지수가 높고 폐업률이 낮았으나, 개인 제과점은 상대적으로 매출이 작고, 폐업률도 높았다.
[스트레이트뉴스 장석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