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어린이집 교직원 전문성 강화 및 통합 운영 체계 구축 ‘박차’
대전시교육청이 유보통합(유아교육·보육 통합) 실현을 위한 발걸음을 한층 더 재촉하고 있다.
교육청은 다음달까지 대전 관내 유치원 교원 75명과 어린이집 보육교직원 162명을 대상으로 영유아학교 시범기관 수업공개를 실시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수업 공개는 지난 상반기부터 이어진 사전 지원 활동의 연장선으로, 교육청이 구성한 영유아학교 시범기관 컨설팅단이 기관별로 두 차례 현장을 방문해 유아 놀이 중심 교육과정이 정착될 수 있도록 지원한 바 있다.
이를 통해 유치원과 어린이집 간 상호 참관과 협의 문화를 확산하고, 교원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실질적인 기회가 마련될 전망이다.
이날 수업 공개는 사이언스신성어린이집을 시작으로, 24일 미래로어린이집, 11월 5일 건양대부속유치원, 11월 12일 대전숲어린이집에서 차례로 진행된다.
각 기관은 디지털 활동, 두레활동, 숲활동 등 기관별 특색을 살린 교육·보육 주제로 수업을 운영하며, 참관 교사들은 협의회를 통해 개선점과 운영 방안을 함께 논의한다.
어용화 유아특수교육과장은 “이번 수업 공개를 통해 교원 간 협력적 학습 공동체를 형성하고, 영유아 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 데 실질적 도움이 될 것”이라며 “연수와 결과보고회를 통해 유보통합의 내실화를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교육청이 추진 중인 영유아학교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대전교육청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유치원 2곳, 어린이집 4곳 등 총 6개 기관을 시범학교로 운영하며 통합 모델을 검증 중이다.
앞서 교육청은 보건복지부의 영유아 보육 업무가 교육부로 이관된 이후, 시·구청 및 어린이집 등 46개 기관을 방문해 현장 점검을 실시하며 보육·교육 일원화 기반 마련에 주력했다.
또한 기관 간 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멘토-멘티제 운영 및 유보통합 정책 연수 등을 추진하며, 조직·인력 운영 측면에서도 철저히 준비 중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유보통합의 제도적 기반이 여전히 미비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지난 9월 대전시의회는 유보통합 3법 개정을 촉구하는 건의안을 채택하며, 법·재정·조직적 보완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스트레이트뉴스 대전=최미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