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아한형제들, “음식점 3곳만 조사해 객관성 부족” 반박

우아한청년들 제공
우아한청년들 제공

배달의민족(배민)이 최근 3년간 배달비와 중개·결제 수수료를 포함한 총수수료를 약 3% 인상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입점업체의 비용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참여연대가 22일 공개한 ‘배달의민족 수수료 부담 실태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입점업체가 부담하는 총수수료는 지난해보다 평균 2.9% 늘었다. 이번 조사는 2023년부터 지난 8월까지 서울·경기·부산 지역 배민 입점업체 각 1곳의 매입내역을 기반으로 진행됐다.

분석 결과 조사대상 세 곳의 총수수료율은 지속적으로 20%대를 유지했다. 특히 경기 지역의 한 분식집은 올해 총수수료율이 26.39%(중개 7.80%, 결제 2.41%, 배달비 16.17%)로, 전년(22.10%) 대비 약 4%포인트 상승했다. 이로 인해 월평균 부담금이 약 16만원 늘어난 것으로 추산된다.

참여연대는 “배달비가 실제로는 라이더에게 지급되는 비용이지만, 입점업체 부담 구조상 실질적 비용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상생요금제가 지난 2월 도입된 이후 소액 주문의 부담은 더 커졌다. 주문금액이 2만원 미만일 경우 배달비가 3400원으로 고정돼, 총수수료 비중이 3년간 5%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1만5000~2만원대 주문이 가장 많은 업체의 경우 총수수료율이 매출의 30%를 넘어섰다. 즉 1만5000원어치를 팔면 약 4500원을 수수료로 지출해야 하는 셈이다.

참여연대는 “광고비, 프로모션 비용까지 포함하면 실질 부담은 훨씬 크다”며 “동일 서비스에 대한 수수료 정책이 일방적으로 정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배민은 중개수수료를 낮추고 소액 주문 구간의 배달비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배민 운영사 우아한형제들은 “조사대상이 음식점 3곳에 불과하고, 자료 출처와 조사기간이 제한적이라 객관성을 담보하기 어렵다”고 반박했다.

[스트레이트뉴스 박수진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