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호황에 어닝서프라이즈, 역대 최대 매출
HBM3E 판매 확대 사실 확인
고른 사업 실적…4분기도 AI 수요 호조 전망

삼성전자는 30일 3분기 12조원대 영업이익을 발표했다. 연합뉴스
삼성전자는 30일 3분기 12조원대 영업이익을 발표했다. 연합뉴스

삼성전자는 반도체 실적 개선으로 시장 컨센서스(10조원대)를 훌쩍 뛰어넘는 12조원대 영업이익을 발표했다. 매출은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을 달성했다.

삼성전자는 30일 매출액 86조617억원, 영업이익 12조1661억원, 순이익 12조2257억원 실적을 발표했다.

전년동기대비 매출은 8.8%, 영업이익은 32.5%, 순이익은 21% 증가했다.

고정비가 큰 삼성전자는 매출 상승률에 비해 훨씬 높은 영업이익 성장을 보여준다.

그 덕분에 시장의 예상도 훨씬 뛰어넘는 어닝서프라이즈에 성공했다.

반도체(DS)가 주역이다. DS는 매출 33조1000억원에 영업이익 7조원을 거뒀다. HBM3E 판매확대, DDR5, 서버SSD 등 수요 강세 및 가격 상승, 전분기 일회성 비용 감소 등의 효과가 컸다.

디바이스(DX)는 매출 48조4000억원에 영업이익 3조5000억원이다. 폴더블 신모델(Z폴드7) 출시 효과와 견조한 플래그십 스마트폰 판매 실적이 컸다.

디스플레이는 매출 8조1000억원, 영업이익 1조2000억원을 기록했다. 중소형 플래그십 스마트폰 수요가 견조해 실적에 도움을 줬다.

하만은 매출 4조원, 영업이익 4000억원이다. 소비자 오디오 및 전장 부문 매출이 확대됐다.

삼성전자는 HBM3E를 전 고객 대상으로 양산 판매 중이라고 밝혔다. 이는 엔비디아향 납품을 간접적으로 확인시켜준다. HBM4는 샘플을 요청한 모든 고객사에 출하 완료했다고 했다.

4분기에도 AI 산업의 급속한 성장으로 DS, DX 모두 새로운 시장 기회가 예상된다. 메모리는 AI 서버 수요에 적극 대응(HBM3E, DDR5)하며 판매 확대할 계획이다. 파운드리는 2나노 양산 본격화 및 가동률 향상에 집중한다.

[스트레이트뉴스 이재영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삼성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