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4월까지 영업 종료…인천공항 사업권 정리 후 DF4·명동점 집중
신라 이어 연쇄 철수로 공백 확대…DF1 재입찰 결과에 업계 이목 쏠려
신세계면세점이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 주류·담배 구역(DF2)에서 철수한다. 앞서 신라면세점이 DF1권역을 반납한 데 이어, 주요 대기업 면세사업자 두 곳이 잇따라 공항 사업권을 포기하는 셈이다.
30일 신세계디에프는 이사회를 열고 인천공항 DF2권역에 대한 영업을 내년 4월 28일 종료하기로 의결했다고 공시했다.
회사 측은 “적자 확대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면세사업의 수익성 제고를 위한 운영 효율화 차원”이라며 “중장기적으로 재무구조 개선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신세계면세점은 2023년 객단가 기반 임대료 체계로 인천공항공사와 계약을 맺었으나, 고환율과 경기 둔화, 소비 패턴 변화 등으로 매출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이에 공항공사 측에 임대료 조정을 요청했으나, 법원 조정 절차에도 불구하고 공사가 ‘계약 변경 불가’ 방침을 고수하면서 결국 사업권 반납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회사 관계자는 “주요 고객층의 구매력 약화와 예측 불가능한 시장 환경 속에서 손실 규모가 과도하게 커졌다”며 “부득이하게 DF2권역을 정리하고, 명동 시내면세점과 DF4(패션·잡화)권역에 역량을 집중해 체질 개선에 나설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결정으로 신세계면세점은 부산점 폐점에 이어 인천공항 내 두 권역 중 하나를 철수하게 된다. 시장 점유율 축소가 불가피하지만, 신세계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재무 안정성을 확보하겠다는 방침이다.
앞서 신라면세점도 지난달 DF1권역 사업권을 1900억원 규모의 위약금을 감수하며 반납했다. 인천공항공사는 신라면세점 철수 구역에 대한 재입찰을 연내 진행할 예정이다. DF2권역의 공백도 조만간 후속 입찰을 통해 메울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현재 인천공항에 입점하지 않은 롯데면세점이 유력한 참여 후보로 거론된다. 중국국영면세점그룹(CDFG)의 도전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번 재입찰에서는 최근 잇단 사업 철수로 드러난 임대료 부담이 일부 완화될지에 관심이 쏠린다.
[스트레이트뉴스 박수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