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AI 데이터센터 대규모 확장 검토…AWS·엔비디아와 협력해 ‘제조 AI’·‘에지 AI’ 본격화

정재헌 SKT CEO가 3일 열린 ‘SK AI Summit 2025’에서 발표하고 있다. SKT 제공
정재헌 SKT CEO가 3일 열린 ‘SK AI Summit 2025’에서 발표하고 있다. SKT 제공

SK텔레콤이 국내 AI 인프라 확충과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한 ‘AI 인프라 로드맵’을 공개했다. 수도권·경남·서남권을 잇는 데이터센터 거점을 확대하고, 에너지 특화 AI 솔루션으로 동남아 시장에 진출하며, AWS·엔비디아 등 글로벌 빅테크와 협력해 기술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정재헌 SK텔레콤 CEO는 3일 ‘SK AI 서밋 2025’ 기조연설에서 울산 AI 데이터센터 확장, 글로벌 에너지형 AI 솔루션 진출, 에지 AI 및 제조 AI 클라우드 구축, AI DC 종합 사업자 도약을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그는 “AI 인프라는 국가 경쟁력의 원천이며, SKT는 국가대표 AI 사업자로서 정부와 함께 AI 3대 강국 도약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현재 추진 중인 울산 AI 데이터센터를 총 1GW 이상 규모로 확장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AWS를 비롯한 글로벌 파트너사와 협력해 제2, 제3의 울산형 데이터센터 모델을 개발하고, 해외 투자 유치를 통해 한국을 아시아 AI 허브로 육성할 계획이다. 지난 10월에는 SK그룹이 OpenAI와 협력해 서남권 AI 데이터센터 설립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었다.

이로써 SK텔레콤은 수도권, 경남, 서남권을 잇는 3대 AI 데이터센터 거점을 확보하며, 전국 단위 AI 인프라 확장을 본격화한다. 정 CEO는 “울산 AI 데이터센터 공개 이후 글로벌 기업들의 협력 요청이 잇따르고 있다”며 “한국이 아시아 AI 인프라 중심지로 성장할 발판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SK텔레콤은 그룹 계열사와 협력해 동남아 시장 공략에도 나선다. 정 CEO는 “SK이노베이션과 함께 베트남에 LNG 발전소 기반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해 냉열 에너지를 냉각시스템에 활용할 것”이라며 “SK그룹의 에너지 기술을 결합한 AI DC 솔루션으로 말레이시아·싱가포르 등으로 진출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SK텔레콤은 통신 인프라를 활용한 ‘에지 AI’와 ‘AI-RAN’ 기술 경쟁력 확보에도 속도를 낸다. 정 CEO는 “AI 서비스가 급증하면서 통신사가 가진 네트워크 자산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며 “기지국과 에지 서버에서 데이터를 처리해 초저지연·보안·효율을 높이는 ‘에지 AI’는 통신사가 가장 잘할 수 있는 영역”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은 이를 위해 AWS와 협력해 ‘에지 AI’ 상용 테스트를 준비하고 있다. AWS의 클라우드 기술과 SK텔레콤의 인프라 역량을 결합해 중장기 R&D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 엔비디아와 협력해 ‘AI-RAN’ 기술 실증을 추진하며, 정부와 학계와 함께 지능형 기지국 개발에도 나선다.

정 CEO는 엔비디아와 손잡고 ‘제조 AI 클라우드’ 구축에도 나선다. SK텔레콤은 엔비디아 RTX PRO 6000 GPU 2000장을 도입해 그룹 주요 제조사인 SK하이닉스 등과 함께 제조 AI 기반 혁신을 추진한다. 이 클라우드는 제조 현장의 디지털 트윈, 로봇 AI 등 스마트 팩토리 기술을 지원하는 핵심 인프라가 될 전망이다.

SK텔레콤은 또한 AI 데이터센터 사업의 역할을 확장해 설계부터 구축, 운영까지 총괄하는 ‘AI DC 종합 사업자(AI DC Developer)’로 도약한다. 냉각·전력·보안·클러스터링 등 핵심 기술을 자체화해 구축 속도를 높이고, ‘AI DC 솔루션 패키지’를 상용 제품화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지난 1년간 △AWS와 울산 AI 데이터센터 구축 협력 △B200 GPU 기반 ‘해인’ 클러스터 구축 △과기정통부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선정 △AI 서비스 ‘에이닷’ 1천만 가입자 돌파 등 성과를 거뒀다.

정 CEO는 “AI 인프라 경쟁력은 기업과 국가의 미래를 좌우할 것”이라며 “AI 인프라의 진화를 선도하는 국가대표 AI 사업자로 성장하겠다”고 말했다.

[스트레이트뉴스 박응서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SK텔레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