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무단 소액결제' 사건과 관련해 사건의 범행 도구인 불법 통신장비를 전달하거나 범죄수익을 세탁한 일당 3명이 추가로 구속됐다.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과는 10일 정례 기자간담회를 통해 지난 9월 구속 송치된 KT 무단 소액결제 사건 실행범 A(48·중국 국적 중국동포)씨에게 불법 통신장비 부품을 전달한 B씨와 C씨 등 2명을 정보통신망법 위반(침해) 및 컴퓨터 등 사용 사기 등 혐의로 구속해 지난달 2일과 24일 각각 송치했다고 밝혔다.
B씨는 50대 한국인 남성으로, 과거 텔레그램 등으로 알게 된 상선의 의뢰로 지난 6월 초 범행에 사용된 통신장비 부품을 조달해 중국 국적의 중국동포인 30대 남성 C씨에게 직접 전달한 혐의를 받는다.
경찰에 따르면 B씨는 범행에 대한 대가로 상선으로부터 500만원을 받았다고 진술했다.
이후 C씨는 지난 7월 19일 A씨를 만나 부품을 직접 전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과정에서 C씨는 B씨에게 전달받은 부품 외에 다른 경로로 입수한 부품들도 함께 전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B씨와 C씨는 서로 모르는 사이로, 상선을 통해 지시받고 부품을 주고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C씨는 별다른 대가를 받지 않고 범행에 가담한 것으로 확인됐으나 A씨와는 과거 일면식이 있는 사이인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이 공개한 불법 통신장비는 A씨 등 2명을 검거한 지난 9월 16일 평택항 인근에서 보따리상을 통해 중국으로 반출되기 직전에 압수한 것들이다.
장비는 27개의 네트워크 장비 개별 부품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고 있는 상태다. 그간 이들이 사용한 장비가 '불법 펨토셀'로 불려 왔으나 27개 개별 부품 중 펨토셀 역할을 하는 것은 부품 1개로 추정되고 있다.
경찰은 B씨 등이 어떤 경로로 부품을 입수해 전달했는지 등 구체적인 사항을 조사하고 있다.
이밖에 40대 한국인 남성 D씨는 SNS(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상선과 접촉한 뒤 하루 10만~15만원을 받기로 하고 무단 소액결제로 취득한 모바일 상품권을 자신의 계정으로 전송받았다가 다른 사람들에게 넘기는 등 자금 세탁을 도운 혐의(범죄수익 은닉규제법 위반 등)로 구속 송치됐다.
이에 따라 현재까지 KT 무단 소액결제 사건으로 구속된 인원은 총 5명으로 늘었다.
이와 함께 경찰은 범행에 사용된 유심의 개통을 돕는 등의 혐의로 6명을 불구속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
앞서 지난 9월 14일 구속 송치된 A씨 등 2명은 지난달 14일 기소돼 재판을 앞두고 있다.
A씨는 올해 8월 12일부터 지난달 5일까지 주로 새벽 시간대에 자신의 차량에 불법 소형 기지국을 싣고 경기 광명과 과천, 부천, 서울 금천 지역 등 수도권의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돌아다니며 알 수 없는 방법으로 KT 이용자들을 해킹해 소액 결제가 실행되도록 한 혐의를 받는다.
검찰이 A씨의 공소사실에 담은 피해 규모는 당시 경찰 기준 94명에 약 6000만원이다.
다만 최근까지 경찰이 접수한 KT 무단 소액결제 사건의 피해 규모는 220명에 1억4000여 만원에 이른다.
지역별로는 경기 광명 124명(8100만원), 일산 1명(90만원), 과천 10명(445만원), 부천 7명(578만원), 서울 금천 67명(4100만원), 동작 5명(330만원), 서초 2명(170만원), 인천 부평 4명(250만원) 등이다.
경찰은 이들의 구체적인 범행 방법을 조사하는 동시에 범행을 지시한 상선을 추적하고 있다.
한편 KT 무단 소액결제와 관련해 해킹 사태를 조사 중인 민관 합동조사단은 해킹범들이 불법 펨토셀을 활용해 소액결제 인증정보를 탈취한 것으로 파악되는 가운데 일반 문자와 통화 내용까지 수집했을 가능성까지 제기되는 데 따라 관련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전문가 자문과 추가 실험을 통해 일반 문자·통화 도청 여부를 면밀히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조사단 측은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진행 중이며 조사 결과에 따라 피해자 수와 피해 규모가 더 커질 수 있다고 밝혔다.
[스트레이트뉴스 함영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