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검찰청·회원구청·소방서 등 공공청사 집적… 6천 세대 아파트·복지·교육시설 들어서
창원특례시 이종덕 도시공공개발국장이 12일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가진 올해 4분기 정례브리핑에서 ‘창원 자족형복합행정타운’이 내년 12월 준공을 앞두고 마무리 공정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밝혔다.
이 국장은 “2019년 3월부터 추진해 온 행정타운 부지조성사업이 계획대로 순항 중이다. 내년 12월까지 모든 공정을 마무리하고 2026년 초부터 본격적인 도시 기능을 가동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번 사업은 총 66억4300만 원 규모로 전체 부지 면적만 71만5903㎡에 달한다. 지난 2022년 9월 첫 삽을 뜬 이후 기반 시설과 주요 건축 부지 조성이 거의 완료된 상태다.
시는 내년 1월부터 도로 등 주요 시설을 단계적으로 관리 부서에 이관하고 같은 해 4월 공사 완료를 공식 공고할 예정이다. 연말에는 도시개발구역 해제와 사업법인 청산 절차까지 마무리된다.
행정타운의 중심에는 법원과 검찰청, 구청, 소방서 등 핵심 공공청사가 들어선다. 마산회원구 행정의 심장이 한곳에 모이면 시민들에게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행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 마산장애인복지관, 안전복합체험관, 초등학교, 국공립유치원 등 생활 밀착형 공공시설이 함께 들어선다. 한국전력공사 마산지사, 한국소방안전원, 전기공사공제조합 등 공공기관도 이전을 앞두고 있다.
도심 기능이 단순한 행정 중심을 넘어 복지·교육·안전이 어우러진 생활권 중심으로 재편되는 셈이다.
특히 눈길을 끄는 부분은 공동주택 부지다. 약 6천 세대 규모의 대단지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주거 안정 효과는 물론 지역 내 새로운 인구 유입의 기폭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상업용지와 근린생활시설도 함께 조성돼, 침체된 지역 상권에도 새로운 숨결을 불어넣을 전망이다.
시는 이번 사업으로 약 3천여 개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건설 과정에서의 직접 고용뿐 아니라 향후 상권과 행정수요 확대에 따른 간접 고용 효과도 적지 않을 것으로 분석된다.
이종덕 도시공공개발국장은 “자족형복합행정타운은 창원의 미래를 설계하는 중요한 프로젝트”라며 “공공과 주거, 복지, 교육이 조화된 새로운 도시 모델로 완성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스트레이트뉴스 경남=김태양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