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창원시 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 모색 포럼’ ... 시민과 기업이 만든 ‘창원형 사회적경제’ 비전

창원특례시가 12일 개최한 ‘2025년 창원시 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 모색 포럼’에서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영환경 조성을 위해 행정과 현장의 소통이 더 절실하다”는 견해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창원특례시가 12일 개최한 ‘2025년 창원시 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 모색 포럼’에서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영환경 조성을 위해 행정과 현장의 소통이 더 절실하다”는 견해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창원특례시는 12일 사회적경제혁신타운에서 사회적경제기업 대표와 시민 등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5년 창원시 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 모색 포럼’을 열고 변화된 정책 환경 속 지역 중심의 사회적경제 전략을 논의했다.

이날 포럼은 ‘기본이 튼튼한 사회에서의 정부정책과 사회적경제의 발전 방향’을 주제로 진행됐다.

한국사회연대경제 강민수 상임이사는 발제를 통해 “사회적경제는 정부 정책의 보조 수단이 아니라 지역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가는 자립적 구조다. 이제는 지역이 주도권을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사회연대경제 관련 제도 변화와 중앙정부의 정책 기조를 짚으며 창원시가 나아갈 방향으로 공동체 기반의 지역사업 확대와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 공공서비스의 사회적 전환 등을 제시했다.

창원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신영규 센터장은 “사회적경제는 행정이 아닌 사람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지역 현장에서 활동하는 기업들의 자생력과 혁신성이 정책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중간지원체계의 역할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포럼에서 한 사회적기업 대표는 “사회적기업은 단순한 복지 사업이 아니라 지역의 경제적 균형을 잡아주는 장치다. 지속가능한 경영환경 조성을 위해 행정과 현장의 소통이 더 절실하다”고 말했다.

박진열 창원시 경제일자리국장은 “사회적경제는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상생과 연대의 플랫폼이다. 창원시는 사회적경제가 지역 경제의 한 축으로 확실히 뿌리내릴 수 있도록 지원과 협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사회적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에 주목한다. 사회적기업이 만들어내는 일자리는 단순 고용이 아닌 ‘지역 안에서 돈이 돌고 사람을 살리는 구조’로 평가한다.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 지역 돌봄·환경·문화 서비스 제공 등 사회적 가치 실현을 통해 공동체의 신뢰를 회복시키는 점도 국민적 공감을 얻고 있다.

최근에는 이윤보다 사람이라는 철학이 점차 확산되면서 사회적기업에 대한 국민 인식 또한 보조적 존재에서 지속 가능한 대안경제로 변화하고 있다.

이번 창원시 사회적경제 활성화 포럼은 총 4회에 걸쳐 진행된다. 오는 19일에는 ‘공유경제 기반의 사회적경제 비즈니스 모델’, 20일에는 ‘지역에서의 통합돌봄’, 26일에는 ‘기후위기 시대 시민과 함께하는 재생에너지’를 주제로 연속 포럼이 열린다.

이번 행사는 단순한 행정 행사가 아니라 지역의 삶과 산업이 함께 숨 쉬는 생활경제의 재구성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스트레이트뉴스 경남=김태양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