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이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2025년도 K-AI 신약개발 전임상·임상 모델개발 사업’에 공동 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고 17일 밝혔다. 사진은 대웅제약 용인 연구소. 대웅제약 제공
대웅제약이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2025년도 K-AI 신약개발 전임상·임상 모델개발 사업’에 공동 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고 17일 밝혔다. 사진은 대웅제약 용인 연구소. 대웅제약 제공

대웅제약이 정부의 AI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프로젝트에 핵심 연구기관으로 참여하며 AI 기반 신약개발 역량을 본격 강화한다. 항암·대사질환 데이터를 활용한 역이행 연구 AI 모델 개발로 연구 효율성과 성공 가능성을 높인다는 목표다.

대웅제약이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2025년도 K-AI 신약개발 전임상·임상 모델개발 사업’에 공동 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삼성서울병원이 주관하고 강북삼성병원과 대웅제약 등이 참여하는 다기관 공동 프로젝트로 추진된다.

대웅제약은 ‘역이행 연구 설계 AI 소프트웨어’ 개발 과제에 참여한다. 역이행 연구는 임상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전임상 단계의 연구 설계를 보완하는 방식으로, 시행착오를 줄이고 신약개발 성공률을 높이는 접근법이다.

대웅제약은 향후 4년간 항암·대사질환 분야에서 확보한 비임상 데이터를 AI 모델 개발에 제공한다. 자사 신약센터에서 생산한 연구 데이터를 활용해 개발된 AI 소프트웨어의 실증도 직접 수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동물실험 모델을 정교하게 설계하고 비임상 자료 기반의 임상 예측 기술역량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다.

회사는 해당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자사 연구과제에 특화된 AI 모델 고도화에도 나선다. 더불어 항암 및 대사질환 중심의 AI 모델을 다양한 질환 영역까지 확장 가능한 범용 임상 AI 플랫폼으로 발전시켜 신약 파이프라인 확대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실제 모델 개발에 참여함으로써 연구 현장에서 직접 AI 기술의 발전을 경험하고, 이를 통해 대웅제약의 연구개발 역량을 한 단계 더 도약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AI를 기반으로 한 혁신적 신약 개발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스트레이트뉴스 박응서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대웅제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