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관내 고등학교에서 발생한 성적 처리 오류가 학생들의 대입전형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대한 사안임에도, 대전교육청이 뒤늦은 대응으로 혼란을 키웠다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대전시의회 교육위원회는 17일 행정사무감사에서 이번 사태를 학생 피해 방치에 가까운 행정 실패 라고 규정하며 교육청을 강하게 질타했다.
김진오 의원(국민의힘, 서구1)은 성적 오류 발생 이후 학교와 교육청 간 소통이 원활하지 않아 후속 조치가 지연됐고, 그 사이 학생·학부모의 불안만 커졌다고 비판했다.
그는 “대입 성적 반영이 걸린 민감한 사안임에도 교육청은 학생 피해 실태조차 신속히 파악하지 못했다”며 “대응 체계 자체가 부실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성적 정정 절차 진행 상황을 보고하고, 피해 학생 구제에 최우선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하게 촉구했다.
성적 오류 문제뿐만 아니라 이번 감사에서는 교육청 행정 전반의 허점이 곳곳에서 드러났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노후한 냉·난방기 수선 지연, 기숙사·특수학교의 스프링클러 미설치, 지역 간 교육격차 심화, 학교시설 개방률 저조 등 기초적인 교육 환경 관리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비판이 잇따랐다.
특히 대전이 전국에서 유일하게 교권보호전담변호사를 배치하지 못한 점에 대해 “교권 침해가 늘고 있는 상황에서 교육청의 미흡한 행정 대응이라“며 강하게 질타했다.
학생과 학부모들의 불안이 커지는 가운데, 교육청이 뒤늦게 개선책 마련에 나서는 모습은 책임 행정과는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 계속된다.
시의회는 재발 방지를 위한 전면적인 실태조사와 구조 개편 등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했다.
[스트레이트뉴스 대전=최미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