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P 대비 부채비율은 하락 가능성”

김민수 한국은행 금융통계팀장(왼쪽에서 두번째).
김민수 한국은행 금융통계팀장(왼쪽에서 두번째).

김민수 한국은행 금융통계팀장은 ‘3분기 가계신용 잔액’을 발표하며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됐다고 18일 설명했다.

이날 김 팀장은 “3분기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968조3000억원을 기록했다”며 “이 중 가계대출이 1845조원, 판매신용이 123조3000억원”이라고 말했다. 그는 “가계신용은 전분기 대비 14조9000억원 증가해 지난 2분기보다 증가 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팀장은 “가계대출은 3분기 중 12조원 늘어 증가 폭이 줄었다”며 “주택담보대출도 11조6000억원 증가해 증가세가 둔화됐는데, 이는 ‘6·27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의 영향이 컸다”고 말했다. 그는 “개인 대상 주택 관련 정책대출도 1조9000억원 증가해 이전 분기보다 증가 폭이 줄었다”고 덧붙였다.

김 팀장은 기타대출 흐름도 언급했다. 그는 “신용대출 한도를 차주 연소득 이내로 제한한 정책 때문에 3분기 중 신용대출이 감소 전환했고, 이 영향으로 기타대출 증가 폭이 크게 줄어 3000억원 증가에 그쳤다”고 설명했다.

금융기관별 흐름에 대해서는 “예금은행 가계대출은 10조1000억원 증가하면서 증가 폭이 축소됐다”며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둔화되고 신용대출이 감소 전환한 영향”이라고 말했다. 그는 “비은행권 대출도 2조원 증가해 증가 폭이 축소됐으며, 신용대출 감소 전환으로 기타대출의 감소 폭이 더 커졌다”고 밝혔다.

기타 금융기관 부분에서는 “보험·연금·여전·공적금융·증권 등 기타 금융기관의 가계대출은 1000억원 감소 전환했다”며 “주택도시기금 대출 순상환과 보금자리론 유동화분 감소, 증권사 신용공여 둔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말했다. 또한 “휴가철 소비와 지방세 납부로 신용카드 이용이 늘면서 판매신용은 3조원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김 팀장은 거시적 관점의 가계부채 평가를 재차 강조했다. 그는 “정부와 한국은행은 가계부채 규모를 급격히 줄이기보다 GDP 대비 비율을 점진적으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3분기 가계신용은 0.8% 늘어 증가세가 둔화됐다”고 말했다.

이어 “3분기 명목 GDP는 12월 3일 발표되지만 실질 GDP 증가율이 2분기 0.6%에서 3분기 1.7%로 크게 높아진 점을 감안하면 가계부채 비율은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고 덧붙였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금융 #경제 #가계신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