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가 모바일 인증 플랫폼 '패스(PASS)' 앱을 기반으로 'PASS 전자고지 서비스'를 출시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를 통해 공공 및 금융기관의 디지털 업무 영역 확대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PASS 전자고지 서비스는 건강검진표, 자격 변동 안내, 환급금 신청 등 공공·금융기관에서 발송하는 각종 고지 문서를 PASS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다. 향후 수백 종 이상의 종이 고지 문서를 전자 형태로 받아볼 수 있도록 구현한다는 계획이다.
이통3사는 서비스 도입에 따라 PASS 앱 메인 화면에서 전자고지 메뉴에 바로 접근할 수 있는 UI/UX(사용자 환경·경험)를 적용해 편의성을 높였다.
전자고지 목록 화면에서는 각 문서의 열람 기한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발송한 전자고지를 열람하지 않은 이용자에게는 추가 알림을 보내 중요한 안내문을 놓치지 않도록 설정했다.
PASS 앱은 국내 가입자 3800만명이 이용하는 대표 인증·본인확인 플랫폼으로, 본인 명의 스마트폰을 통해 안전한 고지 송달이 가능하다는 점이 강점이다.
이와 함께 본인확인과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 특성상 이용자 다수가 정보성 푸시 알림을 항상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기 때문에 전자고지 열람률을 높일 것으로 이통3사는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PASS 앱 기반 '국민비서' 서비스의 필수 고지 문서 열람률은 약 55%에 달한다.
그동안 공공기관 대상으로 공인알림문자 서비스를 제공해왔던 이통3사는 이번 서비스 도입으로 기존 문자 고지와 PASS 앱을 병행하는 투트랙 발송 체계를 갖추게 됐다.
이를 통해 서비스 이용 기관은 상황에 따라 효율적인 채널을 선택하거나 병행 발송을 통해 도달률을 높일 수 있게 된 것이다. 조만간 PASS 전자고지 서비스 사용자들이 다양한 기관들의 전자고지 서비스를 받아볼 수 있을 예정이다.
통신사 관계자는 "이번 PASS 전자고지 출시를 통해 PASS가 공공 디지털 행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공인 알림 문자와 PASS 전자고지를 연계한 고지 채널 고도화를 통해 공공기관이 국민과 더 빠르고 안전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트레이트뉴스 함영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