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의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예상 투자 비용이 기존 120조원 규모에서 최근 600조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면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용적률 상향으로 인한 클린룸 면적 확대를 비롯해 물가 인상, 최첨단 공정 설비 증가 등으로 중장기적으로 볼 때 투자 규모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의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클린룸 면적은 기존 계획보다 50% 확대됐다.
최근 용인특례시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에 대한 9차 변경 산업단지계획을 최종 승인·고시하고 SK하이닉스의 반도체 클러스터 부지(A15)의 용적률을 기존 350%에서 490%로 상향했다. 건축물 최고 높이도 120m에서 150m로 완화됐다.
이에 따라 용인 반도체클러스터에 들어서는 팹(생산라인)의 클린룸 면적도 증가했다. 당초보다 1.5배 넓은 클린룸을 조성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앞서 SK하이닉스는 2019년 용인반도체클러스터 조성 계획을 발표하며 120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당초 목표보다는 3년 가량 착공이 지연됐다.
그런데 이 사이 AI(인공지능) 붐으로 메모리 반도체 시장 수요가 폭증하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한 캐파(생산능력) 확대가 필요해진 상황으로, 요구되는 최첨단 설비 비용과 물가 상승까지 맞물려 투자비가 크게 불어나게 됐다.
들어설 반도체 팹의 규모를 감안하면 최근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언급한 '600조원'이 현실적인 수치라고 업계에서는 보고 있다.
최 회장은 지난 1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원래는 2028년까지 128조원의 국내 투자를 계획했으나 점점 투자 예상 비용이 늘고 있다"며 "정확한 추산은 어렵지만 용인에만 약 600조원 규모의 투자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는 총 4기의 팹이 세워질 예정으로, 각각의 팹은 최근 준공된 SK하이닉스 청주 M15X 팹 6개 규모와 맞먹는다.
지난해 SK하이닉스가 청주 M15X 팹 건설에 20조원 이상이 투입된다고 발표한 것에 따라 단순 계산으로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1개 팹에 120조원 이상의 투자가 필요하다. 이 같은 팹 4개가 모두 완공되려면 최소 480조원이 투입돼야 하는 상황이다.
여기에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가 2050년까지 계획된 장기 프로젝트인 점을 고려할 때 물가 상승 속도와 고성능 설비의 기술 발전 등을 따지면 600조원 투자가 예상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오는 2027년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첫 번째 팹의 첫 클린룸 가동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1기의 캐파는 현재 SK하이닉스의 최대 메모리 생산시설인 이천 M16보다 훨씬 클 예정이다.
[스트레이트뉴스 함영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