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책임 회피·‘새벽배송 가짜뉴스’ 난무… 3차 사회적 합의 앞두고 논란 격화
“새벽배송 폐지? 가짜뉴스입니다. 우리가 요구하는 건 사람이 죽지 않는 배송입니다.”
새벽배송과 심야노동이 불러온 택배노동자 과로 문제가 다시 사회적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전국택배노동조합 충청지부와 대전지역 노동·시민사회단체들은 19일 오전 대전시청 북문 앞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배송 속도 경쟁이 택배노동자를 죽음으로 몰아넣고 있음에도 쿠팡 등 기업들은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번 기자회견은 지난 9월 구성된 속도보다 생명 택배 3차 사회적 대화기구가 본격 논의에 들어가자, 일부 정치권과 경제단체 등을 중심으로 “새벽배송 폐지안”, “소비자 불편 초래”, “택배기사 일자리 감소” 등 왜곡된 정보가 확산되는 데 대해 문제를 제기하기 위해 마련됐다.
택배노조는 기자회견에서 자신들이 제안한 핵심 안건은 초심야(0~5시) 배송 제한, 2개 조 주간 연속근무제 도입, 수입 감소 없는 노동시간 단축 이라고 강조했다.
노조는 “새벽배송을 없애자는 것이 아니라 건강을 위협하는 구조를 바꾸자는 것”이라며, “심야노동의 의학적 위험성은 명백하며, 초심야 시간대 규제가 노동자와 소비자 모두의 안전을 위한 최소한의 조치”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일부 정치권과 택배업계에서는 이를 새벽배송 폐지안으로 몰아가고 있다는 지적이다. 노조는 “가짜뉴스가 생산적 논의를 가로막고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노조는 쿠팡의 구조적 문제를 정면으로 지적했다. 조사에 따르면 쿠팡 퀵플렉스 노동자들의 하루 노동시간은 평균 11.1시간, 주 66.6시간에 달한다. 이는 과로사 판정 기준인 주 60시간을 훌쩍 넘는다.
또 쿠팡은 하루 2~3회 반복배송, 분류·프레시백 회수 등 택배기사 외 업무 수행, 주간 밤 8시, 야간 아침 7시까지 배송 못 하면 클렌징(사실상 해고 압박)등을 강요해 “업계에서도 찾아보기 어려운 살인적 시스템”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노조 관계자는 “이런 구조적 과로가 누적되며 쿠팡 노동자 과로사 사례가 반복되고 있지만 회사는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고 말했다.
택배노조는 소비자 여론 역시 “새벽배송 지속은 필요하지만 속도 경쟁은 문제”라는 인식으로 바뀌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10월 실시된 관련 인식조사에서 노동자 과로를 고려하면 새벽배송 없어져도 불편하지 않다는 응답이 65.8%로, 불편하다(29.1%)의 두 배를 넘었다.
노조는 “새벽배송 폐지가 아니라, 사람을 갈아 넣지 않는 방식으로 재설계해야 한다”며 “소비자도 지속가능한 서비스를 원한다는 사실이 드러난 것”이라고 주장했다.
참여 단체들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정부·기업·정치권에 다음과 같은 조치를 강력히 요구했다.
심야·휴일 배송 규제와 노동시간 단축, 택배노동자 수입감소 없는 근로시간 개편, 휴일·야간 배송 시 할증수수료 보장, 분류작업·프레시백 회수 등 부당업무 폐지, 쿠팡 등 택배사들의 사회적 책임 이행 등이다.
또 “1·2차 사회적 합의가 분류작업 개선 등 성과를 낸 만큼, 3차 합의는 속도경쟁 구조를 뒤집는 실질적 변화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트레이트뉴스 대전=최미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