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의회·대전문화재단 공동 정책세미나 성료… 창작·저작권·정책 공백 해소 ‘시급’

21일 대전시의회 행정자치위원회와 대전문화재단은 일상이 된 AI, 예술계의 과제 정책세미나를 열고 있다. 문화재단 제공.
21일 대전시의회 행정자치위원회와 대전문화재단은 일상이 된 AI, 예술계의 과제 정책세미나를 열고 있다. 문화재단 제공.

대전시의회 행정자치위원회와 대전문화재단은 21일 일상이 된 AI, 예술계의 과제 정책세미나를 열고 급변하는 창작 환경에 대응할 정책 방향을 모색했다.

이번 세미나는 이중호 시의원 주재로 진행됐으며, 앞서 대전문화재단이 6·7월 두 차례 연속 개최한 AI와 문화예술 포럼의 연장선이다. 정책 관계자·예술인 등 60여 명이 참석해 AI가 문화예술 생태계에 드리우는 구조적 변화와 제도적 공백을 논의했다.

첫 발제에서 김윤경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은 AI가 창작·유통·교육 전반에 구조적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창작 과정의 예측 불가성 약화 ▲결과물의 유일성 붕괴 ▲창작 주체성의 혼란 등 예술의 본질을 흔드는 도전이 이미 현실화됐다고 진단했다.

또한 데이터 개방, 알고리즘 투명성 확보 등 기술적 대응과 함께 문화재단 같은 매개기관의 역할 강화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두 번째 발제자인 김제민 서울예술대학 교수는 시 쓰는 AI 시아(SIA) 개발 사례를 바탕으로, AI가 인간의 창작 능력을 대체하는 존재가 아니라 상상·욕망·불안을 투사하는 공진화적 파트너라고 설명했다.

예술가와 AI의 협업이 새로운 창작 모델이 될 수 있다는 전망도 제시했다.

정지우 변호사는 AI 창작물의 저작권 쟁점과 국내외 사례를 소개하며 새로운 저작권 기준 마련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특히 예술 현장에서 AI 활용이 늘어나는 만큼, 정책기관과 현장이 함께 AI 저작권 실무 역량을 갖출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중호 시의원은 “과학도시 대전이 문화예술 분야에서도 AI 이슈를 선제적으로 논의한 뜻깊은 자리였다”며 “현장의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소통하겠다”고 밝혔다.

백춘희 대표이사는 “AI 관련 논의가 계속 확장되고 있다”며 “포럼과 세미나를 통해 발견한 현장의 의견을 실질적 정책으로 연결해 나가겠다”고 했다.

송복섭 한밭대 교수는 “AI와 예술 창작의 본질적 고민이 드러난 자리였다”며 “대전문화재단이 지역 문화예술계의 AI 정책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세미나에 참석한 한 문화기획자는 “AI 활용의 방향성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고, 현장 의견을 공유할 수 있어 의미 있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스트레이트뉴스 대전=최미자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