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컨트롤유니온코리아 김효준 부대표와 계성경 대표, 더크 테이셔트 컨트롤유니온 아시아 태평양 총괄, GS칼텍스 허성우 Chemical & Lube 본부장과 에코지앤알 한상학 고문, 손영길 Polymer 부문장이 
(왼쪽부터) 컨트롤유니온코리아 김효준 부대표와 계성경 대표, 더크 테이셔트 컨트롤유니온 아시아 태평양 총괄, 허성우 GS칼텍스 Chemical & Lube 본부장, 한상학 에코지앤알 고문, 손영길 GS칼텍스 Polymer 부문장이 아시아 최초 ELV MR 밸류체인 RecyClass 인증 획득 기념 인증서 수여식에서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GS칼텍스가 폐자동차(ELV) 플라스틱 재활용 전 밸류체인에 대해 아시아 최초 글로벌 환경 인증 'RecyClass'를 획득했다고 24일 밝혔다.

GS칼텍스는 최근 서울 강남구 GS타워에서 '아시아 최초 ELV MR 밸류체인 RecyClass 인증 획득' 기념 인증서 수여식을 진행했다. 행사에는 GS칼텍스 허성우 Chemical & Lube 본부장, 더크 테이셔트 컨트롤유니온 아시아 태평양 총괄, 에코지앤알 한상학 고문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GS칼텍스가 이번에 획득한 RecyClass 인증은 유럽 내 재활용 소재 사용 규제와 플라스틱세 등 환경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인증으로, 스페인 등 일부 국가에서는 인증 제품에 세제 감면 혜택이 적용될 만큼 공신력을 갖추고 있다. 

올해 9월 기준 유럽 재활용 업계의 60% 이상이 해당 인증을 채택하고 있으며 유럽 순환경제 연합체(CPA)의 공식 감사체계로도 인정받고 있는 대표적인 유럽의 재활용 인증이다.

GS칼텍스는 이번 인증을 통해 폐자동차 재활용 원소재 생산부터 복합수지 제조·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의 품질, 추적성, 투명성이 공식 기준에 부합함을 검증받았다. 

이는 GS칼텍스가 2022년부터 소각·매립되던 저부가 폐플라스틱을 고품질 재활용 소재로 전환하기 위해 구축해 온 재활용 기술과 공정 관리체계가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결과이자 물리적 재활용(MR) 사업에서 한층 강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고 GS칼텍스는 설명했다.

최근 유럽에서는 신차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일정 비율을 재활용 소재로 의무화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재활용 비율에 따라 플라스틱세를 부과하는 등 규제 강도가 지속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규제 환경 속에서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은 국제적으로 검증된 고품질 재활용 플라스틱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또 시장조사기관 PMI는 글로벌 자동차용 재활용 플라스틱 시장이 지난해 496억 달러에서 오는 2034년 960억 달러로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치를 내놓으며 연평균 성장률을 7.5%로 관측하고 있다.

이 가운데 GS칼텍스는 이번 인증을 통해 강화되는 유럽 환경 규제와 확대되는 글로벌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기반을 마련했으며 저탄소 복합수지 제품에 대한 국제적 신뢰도도 확보하게 됐다.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고객사와의 협력을 확대하고 고품질 재활용 소재 수요가 증가하는 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한층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 폐자동차 재활용 소재를 넘어 생활계 폐플라스틱, 폐가전 등 다양한 재활용 원료로 인증 범위를 확대해 자원순환 기반의 저탄소 소재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갈 예정이다.

[스트레이트뉴스 함영원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