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권역 중복되는 도시가스사와의 갈등구조 해결방안도 모색해야
서울시 집단에너지 인프라구축 및 신재생에너지 확대 기본계획 용역

[스트레이트뉴스 이정훈기자] 한국지역난방공사의 집단에너지공급권역과 인접한 도심권역인 종로구, 중구, 용산구와 국제교류복합지구 등 주요지역에 대한 집단에너지 확대보급 가능성이 검토되고 있어 주목되고 있다.
다만 이들 지역이 서울권역 도시가스사의 공급권역이 중복되는 경우 도시가스사와의 갈등구조를 해결하는 방안도 모색해야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국지역난방기술이 발주해 현재 검토중인 ‘서울시 집단에너지 인프라구축 및 신재생에너지 확대 기본계획 수립 용역’은 이같은 내용의 집단에너지공급권역 확대와 서울시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부합해 신재생에너지보급 확대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서울시는 재생에너지공급확대, 에너지절약 및 효율화 등 에너지생산과 절감정책을 추진하면서 도시가스 또는 지역난방으로 열을 공급하는데, 도시가스를 중심으로 하는 개별보일러는 에너지효율도 낮고, 대기오염물질도 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배출된다는 것이다.
반면 집단에너지 시스템에서는 대기오염물질을 정화하기 때문에 개별보일러에 비해 오염물질 배출량이 현저히 적으며, 소각열이나 발전폐열 비중이 높아 에너지효율도 높지만, 지역난방 소비량은 도시가스 소비량의 1/9수준으로 집단에너지 보급은 부진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에따라 대기질 개선과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집단에너지 보급확대방안 수립이 필요하며, 특히 한국지역난방공사의 집단에너지공급권역과 인접한 도심권역(종로구, 중구, 용산구)은 물론 국제교류복합지구 등 주요지역의 집단에너지 확대보급 가능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용역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서울시에서 집단에너지 소비량은 서울시 최종에너지 소비량의 3.3%에 불과하며 기상 조건의 영향을 많이 받는 측면은 도시가스 사용량 변화와 유사한 상황이라고 내다봤다.
따라서 장래 열공급 수요대상으로 대규모 개발사업인 강남구 삼성동, 대치동, 송파구 잠실동 일대의 국제교류복합지구(면적: 166만3,652㎡)와 용산구 서부이촌동의 용산국제업무지구(면적: 51만385㎡)에 주목하고 있다.
또한, 주택정비사업과 주택 건축연면적 증가량으로 2027년까지 총 2602만7,053㎡가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여기에는 한국지역난방공사의 직접적 영향권인 용산구,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 영등포구,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와 함께 서울에너지공사의 직접적 영향권인 중랑구, 도봉구, 노원구, 양천구, 강서구가 포함된다.
도시정비사업과 상업 또는 업무시설 건축연면적 증가도 장래 열공급 수요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강남과 서초, 송파 등 동남권역은 2028년에 316Gcal/h의 열용량이 부족해 청정연료인 LNG를 이용한 대용량, 고효율의 CHP 설치로 신재생에너지의 안정적 공급과 확대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동남권 발전설비의 확대 필요성은 상대적으로 동남권 에너지설비가 빈약하기 때문이다. 현재 발전설비는 서남권(마곡,285MW)과 중부권(합정,800MW)에 편중된 반면 동남권에는 발전설비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동남권의 에너지설비 문제를 CHP 설치를 통해 해결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다.
다만 서울시 집단에너지 인프라구축 과정에서 공급지역에 따른 도시가스사와이 갈등이 예상되는 만큼 이해관계가 상충되는 도시가스사와의 갈등 해결방안도 모색해야 할 것으로 진단했다.
집단에너지 보급 확대로 갈등이 예상되는 도시가스사와 해당지역은 코원에너지서비스(강남, 송파, 서초구 일부), 예스코(중랑, 용산), 서울도시가스(은평, 마포, 강서, 영등포, 용산, 서대문, 양천, 서초구 일부), 귀뚜라미에너지(양천구), 대륜E&S(노원, 도봉) 등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