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고위 관계자 교도통신에 아베 총리가 중국을 직접 언급하지 않았지만, 인공섬 건설 등이 일방적이고 국제법에 근거하지 않는다고 지적

 교도통신은 22일 일본 고위관리를 인용, 아베신조 일본 총리가 이날 암암리에 중국을 겨냥해 남중국해에서 인공섬 건설과 군사 시설화의 중단을 촉구했다고 보도했다.

 일본 정부 고위 관계자는 교도통신에 아베 총리가 중국을 직접 언급하지 않았지만, 인공섬 건설 등이 일방적이고 국제법에 근거하지 않는다고 지적하며 매우 우려한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앞서 리커창 중국총리는 이날 EAS에 참석해 제 3국가가 역내 긴장을 높일 수 있는 행위를 자제해달라고 요구하면서 남중국해 평화와 안정을 촉진하는 5가지 제안을 했다고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리 총리는 첫째 영유권 분쟁의 모든 당사국이 남중국해를 비롯해 세계와 역내 평화와 안정을 지키기 위한 유엔 헌장을 준수하고, 둘째로 1982년 유엔해양법협약(UNCLOS)에 따라 우호적 협의와 협상을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하며, 셋째로 중국과 아세안 국가들은 '남중국해 분쟁당사국 행동선언'(DOC)의 전면적이고 실질적 이행을 위해 '남중국해 분쟁당사국 행동수칙'(COC)을 조기에 결론내자고 제안했다.

 그러나 그는 넷째로 역외 국가는 남중국해 평화와 안정을 지속하기 위한 역내 국가의 노력을 존중하고 지지하며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역할을 하지만, 긴장을 불러올 수 있는 행동은 자제하라고 촉구하면서 마지막으로 모든 국가가 국제법에 따른 항행의 자유가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도 지난 18일 중국의 남중국해 인공섬 건설 중단을 요구하며 중국과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동남아 여러 나라에 대한 지지를 거듭 천명했었다.

 그는 당시 마닐라 APEC 정상회의 참가 중 필리핀의 베니그노 아키노 3세 대통령과의 양국 정상회담을 통해 문제 수역에 대한 긴장 완화를 가져올 '과감한 조치'를 요구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양국은 긴장을 낮추기 위해 남중국해 분쟁 지역의 인공섬 건설 및 군사화 중단의 과감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말했다.
 

남중국해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