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코로나19 영향으로 고용시장이 타격을 입고 위기에 처한 것에 대응하기 위해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일자리 156만개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코로나19 사태는 당장의 일자리 상실은 물론 노동·고용시장 전반에 큰 충격과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홍 부총리는 "기정예산에 의한 공공부문 직접일자리 94만5천개 중 그간 코로나19로 정상 추진되지 못했던 노인일자리, 자활근로사업 등 약 60여만개 일자리에 대해서는 최대한 비대면, 야외작업 등으로 전환하겠다"며 "사업절차 간소화 등 집행상 탄력성을 최대한 허용해 신속 재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홍 부총리 말에 따르면 정부는▲공공분야 비대면 디지털 일자리 10만개 ▲민간분야 디지털 일자리 5만개 ▲청년 일경험일자리 5만개 ▲취약계층 일자리 30만개 등 직접일자리 55만개+α를 마련할 계획이다.
아울러 홍 부총리는 "시험 연기로 인해 지난 4월까지 1만9000명 채용에 그친 공무원·공공기관 채용절차를 이번달부터 재개한다"며 "최대한 빠른 시일내 4만8000명을 채용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홍 부총리가 언급한 긴급 고용·일자리 대책은 다음주에 열릴 경제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세부내용이 최종 확정된다. 정부는 필요한 재원을 3차 추가경정예산안에 반영해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홍 부총리는 코로나 사태로 직격탄을 맞은 특수근로자·프리랜서·일용·임시직 등 취약계층에 대해서도 "전국민 고용안전망 구축을 위한 기초작업을 경제중대본 중심으로 속도감있게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