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너지공단과 공동주택 연료전지 실증사업 공동 추진
7월 실증사업 착수 10월중 준공…최적화 시스템 모델 개발

강동렬 LH 건설기술본부장(왼쪽 세 번째), 이상훈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소장(왼쪽 네 번째) 등 관계자들이 9일 진주 LH 본사에서 열린 ‘공동주택 연료전지 보급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제공=LH)
강동렬 LH 건설기술본부장(왼쪽 세 번째), 이상훈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소장(왼쪽 네 번째) 등 관계자들이 9일 진주 LH 본사에서 열린 ‘공동주택 연료전지 보급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제공=LH)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 변창흠)가 한국에너지공단과 ‘공동주택 연료전지 보급협약’을 체결했다.

9일 LH 진주 본사에서 열린 이번 협약은 제로에너지주택 확대와 수소경제 활성화 등 정부정책에 발맞춰 공동주택에 최적화된 연료전지 시스템 모델 개발의 필요성에 두 기관이 공감하고 실증사업 추진 등 협력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연료전지는 수소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이 가능한 신재생 에너지원이지만, 기술력과 노하우 부족 등의 사유로 공동주택에 적용하기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LH와 한국에너지공단은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한 정부보조금을 활용해 ‘공동주택 연료전지 실증사업’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협약에 따라 LH는 △실증사업 대상단지(행복주택) 선정과 연료전지 설치 △사후관리 수행 △최적의 운영방안 도출 등의 업무를, 에너지관리공단은 △정부보조금 배정 △사후모니터링 등의 업무를 상호 협력해 시행하게 된다.

실증사업은 오는 7월 구축을 시작해 10월 중 준공될 예정이며, 공동주택에 최적화된 연료전지 시스템 모델 개발을 통해 에너지 소외계층의 경제적 부담 완화와 지속적인 에너지복지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LH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모델을 구축해 제로에너지 달성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을 마련하고, 가정용·건물용 연료전지 보급 확대에 기여하는 등 안전한 수소경제도시 구축에 앞장선다는 계획이다.

강동렬 LH 건설기술본부장은 “두 기관의 협업으로 에너지복지 사각지대 해소와 신재생에너지 확산을 실현하는 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며 “LH는 건물 에너지 사용을 감축하고 관련 산업을 육성하는 그린뉴딜 추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