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대별 거래 비중 30대 이하 36% 최고…이어 40대-50대 순
성동구는 30대 이하가 53% 차지…"직주근접+개발호재 반영"
직방, 한국감정원 R-ONE 부동산거래현황 6월 자료 분석 결과

서울 아파트 연령대별 매매거래비중은 30대 이하(36.13%)가 가장 높고, 이어 40대(27.75%), 50대(18.77%), 60대 이상(15.3%)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 25개구 중 성동구는 30대 이하의 매매거래비중이 52.96%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는 직방이 한국감정원 R-ONE 부동산거래현황 중 월별 매입자연령대별 아파트거래현황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난 6월 서울 아파트 연령대별 매매거래비중을 분석한 결과이다.
이 결과에 따르면 30대 이하 매매거래비중은 성동구가 52.96%로 가장 높았고, 중구(52%), 강서구(46.54%), 영등포구(45.19%), 구로구( 42.11%) 순이었다. 반면, 용산구(20.76%)와 양천구(26.56%) 등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거래가격은 강남구, 서초구, 용산구 순으로 높았고, 구로구, 강서구, 양천구, 영등포구 순으로 낮았다. 서울에서도 강남구, 서초구, 용산구는 아파트 매매거래가격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30대 이하가 구매를 시도하기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
성동구 30대 이하 아파트 매매거래비중은 2020년 1월부터 40% 이상을 유지했으며 2020년6월에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동구는 을지로 및 강남업무지역과 접근성이 높은 지역으로 대표적인 직주근접지역이다.
또 개발호재로 성수IT산업개발진흥지구로 지정되어 신성장동력 클러스터 혁신거점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성수전략정비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주거환경개선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이러한 원인으로 30대 이하의 매매거래비중은 꾸준하게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고 직방은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