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을 뉴딜 핵심공간으로 혁신…KRC 농어촌 뉴딜 전략

한국농어촌공사 본사 전경과 김인식 한국농어촌공사 사장. 농어촌공사 제공
한국농어촌공사 본사 전경과 김인식 사장. 농어촌공사 제공

한국농어촌공사는 8일 창립 112주년을 맞아 언택트 기념식을 갖고, 정부의 한국판 뉴딜에 발맞춰 농어업·농어촌의 미래 100년을 준비하기 위한 'KRC 농어촌 뉴딜 전략'을 발표했다.

농어촌공사는 지난해 3월 김인식 사장이 취임하면서 '농어민과 함께 농어촌을 위해'라는 경영슬로건 아래 농어민 체감형 사업추진과 농어촌 가치증진을 위해 일선 현장중심으로 경영체계를 전환한 바 있다.

KRC 농어촌 뉴딜 전략은 농어촌공사의 4대 주요사업과 2개 융복합사업을 통한 성과 창출 전략으로, 안전영농환경 구축, 농어촌 스마트, 그린경제 전환, 상생협력 플랫폼 활성화를 기본방향으로 하고 있다.

우선 스마트한 농어업 생산기반 조성을 위해 스마트 농업 확대, 기후안전 인프라 구축, 범용농지 확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을 높여 농어가 소득 증대 및 국가 식량안보 강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또 안전하고 건강한 농어촌 물복지 실현으로 농어업 SOC 디지털화를 통한 깨끗한 용수 공급과 재난재해 대응력 강화를 추진하고, 농어촌 물수요 충족을 위한 거버넌스 운영 등 국민 참여형 물관리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아울러 농업인 생애주기별 소득안전망 구축을 통해 농지은행 사업을 디지털 기반의 비대면 서비스로 전환하고, 농지정책 지원기능 강화를 통해 공익형 직불제와 연계된 농어가의 안정적 소득 확충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밖에 농어촌 공간혁신과 공동체 활성화로 생활 SOC 정비를 통한 농어촌 365 생활권 조성, 비대면 농어촌 관광플랫폼 구축, 빈집정비, 농어촌 경관복원 등을 통해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대비해 저밀도·친환경 농어촌 공간을 조성하고 공동체 중심의 지역경제 활성화에 나설 계획이다.

농어촌공사는 지역민과 함께하는 농어촌 그린에너지 확산을 통해 염해간척지나 유휴수면 등을 활용한 재생에너지 발전 시설을 확충하고 그 수익을 지역민과 공유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한편, 'K-농산업' 해외진출 확대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농어촌공사는 KRC 농어촌 뉴딜 전략 실행을 위해 조직을 기존 26개 부서에서 20개 부서로 개편했다. 설계·점검 등 집행기능은 지역본부로 이양해 현장 위주로 인력을 전환하고, 기존 직계중심 조직에서 유사·중복기능을 최소화하는 사업·기능중심의 융복합 조직으로 전환했다.

김인식 사장은 "창립 112주년을 맞아 한국농어촌공사의 소명을 되새기고 농어업·농어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새로운 걸음을 내디딜 때"라며 "농어업이 가진 소중한 가치를 지키고 농어촌의 무한한 잠재력을 이끌어 내, 농어촌이 한국판 뉴딜의 핵심공간이 될 수 있도록 공사가 선도적 역할을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