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공사, 맞춤형 농지지원사업 7708억원 등 올해 예산 확정
경영회생지원 농지매입사업에 2979억…농지연금은 1808억원

올해 농지은행사업비로 지난해 보다 14% 늘어난 1조3000억원이 투입된다. 농지은행사업은 지난 1990년 농지규모화사업으로 시작됐으며 은퇴농, 자경 곤란자, 이농자 등의 농지를 매입하거나 임차 수탁 받아 농지 이용을 필요로 하는 창업농 등 농업인에게 농지를 매도하거나 임대하는 농지종합관리제도이다.

9일 한국농어촌공사에 따르면 올해 농지은행사업 예산 중 가장 많은 분야는 맞춤형 농지지원사업으로 7708억원이 투입된다.

맞춤형 농지지원사업은 농지임차를 지원하는 공공임대용 농지매입사업과 영농 규모 확대를 지원하는데 사용된다.

농어촌공사는 농업정착에 있어 가장 큰 진입장벽으로 체감되는 농지를 지원함으로써 농촌의 인구감소 문제 극복에 기여해 나갈 계획이다. 맞춤형농지지원사업 등 농지은행사업을 통해 2012년부터 2020년까지 청년농업인 2만9210명이 2만7349ha의 농지를 지원받았다.

특히, 올해부터는 농지가격 임차료 정보제공사업을 새로 시작해 농업에 뜻을 두고 관심을 갖는 농업인들에게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여 농업에 관심을 갖는 초기 단계에서부터 체계적인 지원을 해 나갈 계획이다.

경영위기 농가를 위해서는 2979억원이 경영회생지원 농지매입사업으로 투입된다. 매입한 농지를 해당 농가가 최대 10년까지 장기임대 받고 환매도 가능하며, 지금까지 1만1934농가가 이 사업을 통해 농업 경영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

고령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노후생활을 위한 연금을 지급하는 농지연금사업에는 1808억원이 투입된다. 2011년 도입된 농지연금 가입 건수는 지난해말 기준 1만7098건이고, 가입자는 월 평균 93만원의 연금을 지급받고 있다., 총 누적 지급액은 6647억원이다.

김인식 한국농어촌공사 사장은 "농업의 시작과 은퇴까지 지원하는 생애주기에 맞는 맞춤형 농지은행지원을 통해 청년들이 농촌에서 미래를 일구고 어르신들은 농촌에서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지속가능한 농정의 가치를 실현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국농어촌공사 본사 사옥 전경/제공=한국농어촌공사
한국농어촌공사 본사 사옥 전경/제공=한국농어촌공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