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016년 3분기 가계 동향’에 따르면 고소득층의 소득은 증가한 반면 저소득층의 소득은 크게 감소해 소득 불평등 현상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1분위(하위 20%) 가구의 월평균소득은 141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9% 감소했지만, 소득 5분위(상위 20%) 가구의 월평균소득은 854만5,000원으로 2.4% 증가해 소득 5분위 배율은 4.46을 기록한 전년 동기보다 0.35 상승한 4.81을 기록했다. 이는 소득 불평등이 심화되었다는 의미이다.
소득 1분위 가구의 소득이 감소한 이유는 두 가지다. 하나는 임시직, 일용직 감소에 따라 소득이 줄어들었기(-12.4%) 때문이고, 또 하나는 영세자영업 간에 경쟁이 심화되면서 사업자들의 소득이 줄어들었기(-12.5%) 때문이다. 그러나 소득 5분위 가구의 근로소득은 오히려 6.9% 증가해 대조를 보였다.
또한 가구소득 중 재산소득은 31.9% 감소했는데, 이는 저금리 여파로 인해 이자소득이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처럼 소득 1분위 가구당 월평균소득이 감소함에 따라 식료품비, 보건비 등 중요 부문에 대한 지출도 전반적으로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당 식료품비, 비주류음료비 지출은 전년 동기 대비 3.2% 감소한 36만8,000원을 기록했고, 보건지출도 3.8% 감소한 17만 원을 기록했다. 치과 비용과 입원비도 각각 12.3%, 10.8% 줄어들었으며, 이동통신 기기 구입(-18.4%), 자동차 연료비(-7.3%), 교통비(-2.2%) 등도 감소세를 보였다.
정부가 부동산 대책을 마련하는 등 노력하고 있지만, 내수는 좀처럼 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런 현실은 미래에 대한 불안으로 이어져 대다수 가계가 소비보다 저축을 선호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실제로 가처분소득(소득에서 세금과 사회보장분담금 등을 빼고 실제로 소비할 수 있는 금액) 중에서 쓰지 않고 저축해두는 액수가 지난해 대비 0.8% 늘어난 102만8,000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런 소득불평등 현상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얼룩져 국정공백 사태가 장기화되고 있는 4분기에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관측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