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20년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 디자인센터의 한 팀장급 직원의 죽음이 다시 조명받고 있다. 과도한 업무와 상사의 폭언 등이 극단적 선택의 원인으로 알려지면서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추모 분위기가 형성됐다.
12일 익명 직장인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현대차 직원 죽음에 대해 "얼마나 괴로웠으면... 안타깝다", "남의 일이 아니다" 등 고인의 명복을 비는 글이 다수 올라왔다.
현대차를 비판하는 내용도 많았다. 한 현대차 직원은 "부서마다, 사람마다 (업무 강도나 환경이) 엄청나게 심한 직장"이라며 "열심히 성실하게 일할수록 손해 보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현대차 디자인센터의 업무 강도가 특히 심하다는 얘기도 나왔다. "남양연구소에서는 디자인 부서의 업무가 매우 힘든 편"이라며 "(이번 사건 말고도) 더 많다"고 했다.
실제로 현대차 남양연구소에서는 이번 디자이너의 죽음 이전에도 극단적 선택을 한 직원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스스로 현대차 하청업체 직원이라고 밝힌 이는 "진짜 힘들다"며 "주말이고 휴일이고 상관없이 (현대차에서) 메일이 온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몇 시까지 해달라고 하는데 하청한테만 그러는 게 아니었다"고 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에 대한 비판 의견도 여럿 보였다. 죽은 디자인팀 직원이 상사로부터 괴롭힘을 당했다는 내용이 전해지면서다.
한 현대차 직원은 해당 상사에 대해 "정의선 회장의 최측근"이라며 "정의선 회장이 (이번 사건에 대해) 다 알고도 부사장으로 승진시켜줬다"고 했다.
해당 상사는 제너럴모터스(GM), 벤틀리 등에서 굵직한 디자인 프로젝트를 수행한 인물로 정의선 회장이 직접 영입한 것으로 전해진다.
현대차 비판 게시글이 삭제되는 일도 벌어졌다. 현대차 사측이 비판적인 게시글을 계속 신고해 지우는 것으로 보였다.
한 이용자는 "회사가 직원의 죽음과 관계없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비열하다"고 지적했다. "현대차를 불매해야 한다"는 의견도 많았다.
[스트레이트뉴스 유희석 기자]
관련기사
- 1973년 뉴욕서 버려진 페트병, 현대차 내장재로 재탄생했다
- [단독]가격경쟁 중단·전기차 투입…현대차, 中 부활 3개년 계획 수립
- [단독]'정의선 영입' UAM 전문가 떠났다…현대차 플라잉카 '삐걱' 우려
- 현대글로비스 지분 10%, 사모펀드 칼라일에 매각
- 달리는 車에서 메타버스 접속…현대차, '메타모빌리티' 선언했다
- '정몽구 성공신화' 잊어야 산다…방향 바꾼 정의선
- [단독]현대차, 中 헝윈그룹에 '중국판 넥쏘' 공급…HTWO 중심 수소 사업 강화
- '반도체 부족' 넘은 기아, 슬로바키아 생산량 15% ↑
- 현대차 미국서 2만6000대 리콜…앞유리 접착 불량
- 현대차, 인도서 배터리 사업 도전…전기차 연계
- 현대차 동남아 거점 완공…17일부터 250대 생산
- 현대차 '중국판 넥쏘' 베이징서 시범운행…동계올림픽 홍보 주력
- 현대차 아이오닉6 디자인 특허 공개…6월 출시 전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