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 물량이 늘고, 거래가 실종되는 등 부동산 시장이 냉각된 가운데 청약통장 가입자가 소폭 상승했다. 분양시장이 활기를 되찾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3일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기준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는 총 2699만5103명으로, 전월 대비 5만3726명 증가했다. 지난해 하반기 청약 열기가 시들해지며 줄곧 감소하던 가입자 수가 다시 늘어나려는 조짐으로 해석된다.
최근 금리인상과 높아진 분양가 등으로 서울 외곽지역과 일부 지방을 중심으로 미분양 물량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대구 지역은 올해 분양에 나선 34개 단지가 특공 미달사태를 빚고, 10개 단지가 1순위 마감에 실패하는 등 먹구름이 낀 상태다.
이 같은 상황에서도 청약통장 신규 가입자 수가 늘고 있다는 것은 새 정부의 청약제도 개편과 공급 확대 계획에 청약 수요자들의 기대감이 높아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윤석열 대통령은 가점이 낮은 '2030세대'를 비롯한 무주택 실수요자를 위한 청약제도 개선을 공약으로 내세웠으며, 임기 내 250만 가구를 공급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실제로 그동안 투기과열지구의 전용면적 85㎡ 이하는 모두 가점제로 진행되면서 상대적으로 무주택 기간이 짧고 부양가족이 적은 2030세대는 청약 당첨이 어려웠다. 이에 2030세대가 청약에 당첨되려면 이전 가입자의 납입 가점과 금액을 물려받을 수 있는 '청약통장 명의변경'이 유리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청약시장이 뜨겁던 2020년까지는 청약통장 명의변경 건이 급증했다. 지난달 15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청약예금·부금·저축 및 주택청약종합저축 등 청약통장 명의변경은 6345건으로, 전년(5017건) 대비 26.5% 증가했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5년 5088건 ▲2016년 4547건 ▲2017년 4684건 ▲2018년 5173건 ▲2019년 5017건 ▲2020년 6345건 등이다. 지난해는 아직 집계가 되지 않았으나, 상반기까지 청약열기가 뜨거웠던 점을 감안하면 증가세가 지속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새 정부는 이 같은 상황을 고려하고, 청약시장 활기를 되찾기 위해 청약제도 개편을 추진한다. 국토부에 따르면 새 정부는 현재 1~2인 가구를 위한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주택 기준을 신설하고 전용면적 60~85㎡ 미만 주택은 추첨제를 30%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가점을 쌓으며 청약 기회를 기다려 온 4050세대를 위해서는 중대형 평형 추첨제 비율을 줄이는 것을 검토 중이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지난달 16일 취임식에서 청년층의 내 집 마련을 위해 분양가의 최대 80% 지원 대출 상품을 출시하고, 청약 추첨제 확대 등을 공언했다.
직방 관계자는 청약통장 가입자 증가에 대해 "임기 내 250만 가구 이상 공급, 청년·신혼부부 추첨제 확대, 군장병 가산점 지급 등의 새 정부 공약에 대한 기대심리가 작용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스트레이트뉴스 함영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