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행매매 의혹으로 검찰의 수사를 받고 있는 최정우 포스코홀딩스 회장. /사진=포스코홀딩스
선행매매 의혹으로 검찰의 수사를 받고 있는 최정우 포스코홀딩스 회장. /사진=포스코홀딩스

포스코그룹 주요 경영진 선행매매 혐의 수사가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선행매매란 투자 관계자가 아직 시장에 알려지지 않은 정보를 이용해 주식을 매매해 차액을 챙기는 일종의 내부거래다. 현행 자본시장법은 회사 내부 정보를 미리 알고 주식을 사거나 팔았다면 이익을 실현하지 않아도 미공개 정보 이용 범죄로 처벌한다.

포스코 선행매매 의혹은 지난 2020년 3월 포스코가 1조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계획을 의결하기 한 달 전, 최정우 회장 등 주요 경영진이 집중적으로 자사주를 사들이면서 불거졌다. 당시 포스코 임원 64명이 사들인 자사주는 모두 1만9209주, 금액으로는 30억원에 육박했다. 

포문은 전중선 포스코홀딩스 사장(당시 포스코 전략기획본부장 겸 글로벌인프라부문장)이 열었다. 전 사장은 2020년 3월 12일 자사주 1000주를 주당 17만9500원에 사들였다. 이튿날에는 당시 포스코 재무실장이었던 임승규 포스코기술투자 사장이 300주(주당 16만9500원)를 매입했다.

2020년 3월 17일에는 최정우 포스코홀딩스 회장이 1억원 정도를 투자해 자사주 615주를 사들였다. 이후 김학동 부회장이 500주를 장내 매입하는 등 포스코 최고 임원의 자사주 매입이 계속 이어졌다. 약 한 달 뒤 포스코 이사회는 앞으로 1년간 1조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하겠다고 의결했다. 시장의 반응은 뜨거웠다. 이사회 의결 발표날에만 주가가 1만3500원 뛰었다.

포스코 주가는 이후 수직 곡선을 그렸다. 지난해 5월 14일에는 주당 41만3500원으로 역대 최고점을 찍었다. 포스코 경영진이 사들인 주식 가치도 두 배 이상 오르며 80억원에 육박했다. 

전중선 포스코홀딩스 사장. /사진=포스코홀딩스
전중선 포스코홀딩스 사장. /사진=포스코홀딩스

회사가 대규모 자사주 매입을 발표하기 전 임원들이 자사주를 사들인 것으로 놓고 미공개 내부 정보를 이용한 내부자 거래가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최정우 회장과 전중선 사장, 김학동 부회장 등이 회사의 자사주 매입 사실을 미리 알고 차익을 얻기 위해 자사주를 미리 산 것 아니냐는 지적이었다.

업계 관계자는 "포스코의 대규모 자사주 매입 결정은 보고 자료 작성, 이사진에 대한 사전 통보 기간 등을 고려하면 사전에 상당 부분 구체화했다고 보기 충분하다"며 "포스코 경영진과 주요 임원의 자사주 취득은 이사회 결의 직전 한 달 동안 집중됐고, 모두 사내 핵심 내부 정보에 접근할 수 있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선행매매 의심을 피할 수 없어 보인다"고 했다. 

60명이 넘는 임원이 마치 사전 공모한 것처럼 100~300주 내외로 자사주를 사들인 점도 수상하다는 평가다. 고위 임원임에도 당시 처음으로 자사주를 장내 매수한 임원도 16명으로 전체의 25%에 달했다. 

포스코는 "코로나 감염증 확산으로 주가가 급락한 상황에서, 책임경영 의지를 보이고자 회사 주식을 자발적으로 매입한 것"이라며 "경영진과 임원들은 자사주 매입 당시 회사의 자사주 매입 계획을 알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결국, 노동조합과 시민단체 등이 지난해 3월 최정우 회장을 포함한 포스코 임원 64명을 자본시장법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했다. 검찰은 사건을 서울중앙지검 경제범죄형사부에 배당했다고 알려졌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에 있는 포스코센터 빌딩. /사진=포스코
서울 강남구 대치동에 있는 포스코센터 빌딩. /사진=포스코

검찰은 지난해 8월 서울 강남구 대치동에 있는 포스코센터 빌딩을 전격적으로 압수 수색을 했다. 지금은 서울중앙지검 경제범죄형사부 유진승 부장검사가 사건을 수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관계자는 "현재 검찰에서 해당 사건을 수사 중이라고 알려졌지만, 압수수색 이후에도 별다른 수사 상황은 알려진 바 없다"며 "대통령 선거 등을 거치면서 수사가 지지부진해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유희석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