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3사 모두 5G 28GHz 주파수에서 손을 떼는 상황이 펼쳐졌다. 연합뉴스
통신 3사 모두 5G 28GHz 주파수에서 손을 떼는 상황이 펼쳐졌다. 연합뉴스

KT와 LG유플러스가 5G 28GHz 통신망 구축 미비로 제재받은 가운데 SK텔레콤도 기지국 구축에 나서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상 통신 3사 모두 5G 28GHz 주파수에서 손을 떼게 됐다.

23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5월 말까지 5G 28GHz 기지국 1만 5000대 추가를 주파수 할당 취소 유보 조건으로 받았던 SK텔레콤은 지난해 11월부터 해당 대역 기지국을 추가로 구축하지 않고 있다.

남은 한 달간 SK텔레콤이 기지국 증설 조건을 이행하기가 물리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사실상 통신 3사 모두 5G 28GHz 주파수 할당을 포기하는 셈이 됐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12월 KT와 LG유플러스의 5G 28GHz 주파수 할당 취소 처분을 확정했다.

정부는 회수한 5G 28GHz 주파수를 활용해 제4통신사 유치를 시도하고 있다.

정부는 2010년 미래창조과학부 시절부터 제4통신사 유치를 7차례 시도했다 실패했지만 이번에는 휴대전화 자급제 보급, 알뜰폰 점유율 증가 등 달라진 통신 시장 환경에 힘입어 유치 성공을 자신했다.

네이버와 카카오 등 플랫폼 사업자, 쿠팡과 토스 등 유통·금융권 신사업자 등이 28GHz 대역대를 활용한 네트워크 사업에 뛰어들 거라는 기대가 나왔다. 그러나 뚜렷한 진출 의지를 나타내는 기업이 없어 올해 안으로 신규 사업자를 유치하겠다던 정부 입장이 초조해지는 상황이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5G 중간 요금제 도입으로 요금 구간이 촘촘해졌지만 요금 시작점 자체가 높게 책정돼 있어 소비자 부담을 키운다고 보고 이를 낮추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스트레이트뉴스 신용수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