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3사, 6만원대 5G 중간요금제 출시
요금제 세분화로 소비자 선택권 늘렸지만
소비자단체 "3만원대 알뜰폰 수준 맞춰야"
KT가 통신3사 중 마지막으로 5G 중간요금제를 출시했다. 다양한 구간의 데이터 요금제를 출시하며 소비자의 선택권을 늘렸다. 그러나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요금제 가격 인하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7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통신3사는 5G 요금제를 확대했다.
KT는 오는 6월에 50∼90GB(기가바이트) 구간의 5G 중간요금제 3종을 출시한다. 새로 선보이는 요금제는 심플 50GB(월 요금 6만 3000원), 심플 70GB(6만 5000원), 심플 90GB(6만 7000원)이다. 지난해 출시한 슬림 플러스(30GB·6만 1000원)와 심플 110GB(6만 9000원)를 더하면 KT의 5G 중간 요금제는 총 5개가 된다.
LG유플러스도 요금 구간을 촘촘히 한 5G 요금제를 선보였다. LG유플러스는 데이터 31∼150GB 사이 구간에 6∼7만 원대 5G 중간요금제 4종을 출시했다. 기본 데이터는 각각 50GB, 80GB, 95GB, 125GB이다.
SK텔레콤도 24GB∼110GB 구간에 요금제 4종을 신설했다. 24GB 사용에 월 5만 9000원이던 '베이직 플러스' 요금에서 3000원, 5000원, 7000원, 9000원을 각각 추가하면 13GB, 30GB, 50GB, 75GB를 더 쓸 수 있는 구조다.
SK텔레콤과 KT의 5G 중간요금제 가입자들은 데이터를 모두 소진할 경우 QoS 형태로 추가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1Mbps 속도로 데이터를 추가 이용하는 형태이다. 반면 LG유플러스의 중간요금제는 6만 8000원대 이상 요금제에서는 5Mbps로 추가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청년 가입자들이 타연령대와 비교해 데이터 이용패턴이 다양하고 비교적 소진량이 많다는 점에 맞춰 이들을 위한 요금제도 마련됐다. SK텔레콤은 데이터가 부족한 월에 추가금액을 지불하고 데이터를 충전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선보였다. KT는 만 29세 이하 모든 가입자에 대해 기본 데이터 제공량을 2배로 확대했다.
통신3사는 정부와 시민단체의 요구에 따라 30GB~100GB 사이의 요금제를 출시하며 소비자의 선택권을 늘렸다. 이전에 출시한 5G 중간요금제가 다양한 데이터 구간이 없었다는 점이 비판받자 이를 보완한 형태다.
주무부처인 과기정통부는 지난 2월 비상경제민생회의 후속조치로 통신요금 선택권을 확대하고 통신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통신사들과 요금제 다양화 협의를 진행했다. 과기정통부 측은 이번 요금제 개편에 대해 “연령 및 구간별로 세분화된 5G 중간요금제가 신설되면서 소비자의 선택권이 확대됐다”고 평가했다.
다만 여전히 시민단체의 불만은 사그라들지 않았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지난 26일 KT 광화문 사옥 앞에서 5G 중간요금제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실효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데이터 요금제가 다양화돼 소비자 선택권이 늘어났지만 기존의 요금과 차이가 크지 않다는 이유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통신3사가 중간요금제를 내놨지만 비싼 기본 요금은 그대로 두고 일부 데이터 양만 조정해 앞서 내놓은 중간요금제와 별다른 차이가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그동안 통신3사는 적은 데이터를 제공하는 저렴한 요금제와 대량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비싼 요금제만 출시해 고가 요금제 가입을 유도했다"며 "이번에 출시한 요금제도 고가의 요금제는 그대로 유지해 저렴하고 합리적인 요금제 출시를 바랐던 소비자의 기대를 저버렸다"고 주장했다.
소비자주권시민회를 비롯해 시민단체에서는 5G 요금제도 알뜰폰 수준에 맞춰 출시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알뜰폰 휴대폰 가입자 대부분은 월 3만원대 LTE 요금제(11GB+무제한)를 선택하고 있다. 통신3사가 출시한 5G 중간요금제 가격이 6만원대라는 점과 비교하면 알뜰폰 요금제는 절반 수준이다.
그러나 통신3사는 5G 서비스 구축비용이 LTE와 격차가 있는 만큼 5G 요금제를 낮추기는 어렵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를 두고 시민단체들은 5G 요금 원가 공개를 요구하고 있다. 실제로 참여연대가 지난 1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를 상대로 5G 요금 원가 공개 등을 요구한 소송에서 일부 승소판결이 내려진 상황이다.
정부도 최적요금제 고지, 요금 모니터링 보고서 발간 등 통신요금 정보를 소비자에게 보다 적극적으로 알리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박윤규 과기정통부 2차관은 "이용자들이 통신 요금에 대해 더 많이 알고 더 많이 비교하고 선택할수록 통신사가 이용자 선택을 받기 위해 경쟁하게 될 것"이라며 "이용자들이 충분한 정보에 따라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통신 요금 정보제공 강화를 위한 정책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신용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