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일 간 202만명 중 49만명(약 24.3%)…이달 말까지 이동 가능
19~34세, 매달 70만원 한도…8~10% 금리 수준에 비과세 혜택까지

지난 1월 당시 서울 중구 청년도약계좌 비대면 상담센터에 설치된 청년도약계좌 안내문. 연합뉴스 제공.
지난 1월 당시 서울 중구 청년도약계좌 비대면 상담센터에 설치된 청년도약계좌 안내문. 연합뉴스 제공.

20조원 규모의 청년희망적금 만기 도래에 따라, 윤석열 정부의 주요 공약사항으로 청년들의 목돈만들기를 위해 도입된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는 청년 가입자가 50만명에 이르고 있다. 만기 도래자 넷 중 한명 꼴로, 높은 금리와 비과세 혜택에 매력을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

5일 금융권과 금융당국에 따르면 4월 말 기준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탄 가입자 수는 49만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만기 도래자(202만명)의 24.3%에 해당하는 수치다. 올해 1월 25일부터 시작돼 약 100일간 이뤄진 결과로 신청 접수는 이달 말까지다.

정부는 기존 청년희망적금으로 만들어진 목돈을 더 크게 만들어 주기 위해 청년도약계좌로 이전 가입을 독려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시뮬레이션 결과, 청년희망적금 만기자가 청년도약계좌로 일시 납부(일시 납입금 1260만원, 월 설정금액 70만원, 금리 6% 가정) 시 만기에 얻을 수 있는 수익은 최대 약 856만원으로, 일반 적금 상품(평균금리 3.54% 가정)의 기대 수익 약 320만원 대비 2.67배 높다.

이와 같은 매력에 금융위는 청년도약계좌로 약 4~5조원 수준의 유입을 기대했다. 연계 가입 증가에 힘입어 4월말 기준 가입자 수는 123만명이다. 이는 이 상품 가입 가능 연령대인 19~34세 인구(1021만명)의 12% 수준으로, 소득이 있는 청년만 가입이 가능한 점을 고려하면 가입률은 더 높아진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청년들이 저축보다는 부채가 큰 상태로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며 "청년도약계좌가 청년층의 안정적인 자산 축적을 돕는 상품으로서 자리매김해나가고 있다"고 자평했다.

청년도약계좌는 5년간 매달 70만원 한도로 적금시 지원금(월 최대 2만4000원)등을 더해 약 5000만의 목돈을 모을 수 있는 정책금융 상품이다.

실질금리가 연 8~10%대 수준에 비과세 혜택까지 있어 관심을 모았으나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상대적 금리 매력 감소, 5년이라는 장기간 목돈이 묶인다는 점 등으로 당초 기대수준인 300만명에는 한참 모자라는 수준의 가입율을 보이고 있다.

금융위는 청년도약계좌 지원 강화를 위한 후속 조치를 이어가고 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위한 가입 자격은 '개인소득 연 7500만원 이하'이면서 동시에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인 19∼34세 청년이었는데, 가구소득 요건을 기존 '중위소득의 250% 이하'로 낮춰 보다 많은 청년에게 중장기 자산 형성 기회를 주기로 했다. 이 경우 1인 가구소득 상한선이 약 4200만원에서 약 5834만원으로 상향된다.

혼인, 출산 등 사유로 청년도약계좌를 중도 해지할 경우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모두 받을 수 있도록 했으며, 소득 증빙이 쉽지 않았던 육아휴직자 및 군 장병 급여만 있는 청년도 가입 가능하다.

더불어 청년도약계좌 만기금의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일시 납입을 허용하고, 이후 이 청약통장을 통한 청년주택드림 대출 연계로 주택자금도 지원하기로 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장석진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