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성남시 분당두산타워. 두산 제공
경기 성남시 분당두산타워. 두산 제공

두산그룹이 사업구조 개편 차원에서 추진해 온 두산밥캣과 두산로보틱스 간 포괄적 주식교환 방식의 합병 계획안을 철회했지만 일반주주들의 반응은 여전히 냉담한 상태다. 지배구조 개편안 중 일부를 철회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이유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밥캣과 두산로보틱스는 이날 각각 긴급이사회를 소집하고 양사 간 포괄적 주식교환 계약을 해제하기로 결의했다. 두산그룹이 사업구조 개편을 발표한지 49일 만이다.

이에 따라 두산밥캣을 두산로보틱스의 100% 자회사로 만든 뒤 두산밥캣을 상장 폐지하려던 계획은 사실상 무산됐다.

앞서 지난달 11일 두산그룹은 두산에너빌리티에서 두산밥캣을 인적 분할한 뒤 두산로보틱스 완전 자회사로 편입해 합병하는 방식의 지배구조 개편안을 발표하고 분할합병·주식교환 증권신고서를 금감원에 제출했다.

그러나 이후 두산그룹의 사업구조 개편이 주주 권익을 침해한다는 비판이 제기됐고 금융감독원은 "투자자의 합리적인 투자 판단을 저해하거나 투자자에게 중대한 오해를 일으킬 수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며 2차례에 걸쳐 정정신고서 제출을 요구했다.

이에 두산그룹은 추진하려던 계획안을 철회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이날 양사는 각각 대표이사 명의 주주 서한을 통해 "사업구조 개편 방향이 긍정적으로 예상되더라도 주주들과 시장의 충분한 지지를 얻지 못하면 추진되기 어렵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두산밥캣과 두산로보틱스는 앞으로 시장과의 소통, 제도 개선 내용에 따라 사업구조 개편을 재검토할 예정이라고도 밝혔다. 또 두산그룹 사업구조 개편과 관련한 금융감독원의 정정요구 사항을 반영해 정정신고서를 제출하고 주주총회 등의 일정도 재조정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당초 다음달 25일 예정됐던 주주총회 날짜도 연기될 것으로 보인다.

단, 두산밥캣 지분을 보유한 두산에너빌리티 신설 법인과 두산로보틱스 간 분할 합병은 지속 추진된다. 이 경우 두산밥캣은 두산에너빌리티에서 분리돼 두산로보틱스 자회사로 남게 된다. 일반주주들의 반응이 여전히 냉담한 이유다.

두산밥캣과 두산로보틱스의 발표 이후 소수주주 의결권 플랫폼 액트팀은 바로 입장문을 내고 "포괄적 주식 교환을 철회했다고 해서 이 사건의 본질이 변하지 않는다"며 "두산에너빌리티 입장에서는 기존과 달라지는 게 없다"고 주장했다.

두산에너빌리티를 기존 사업회사와 두산밥캣 지분을 소유한 신설 투자회사로 인적분할하고 이 분할신설법인을 두산로보틱스와 합병하는 안은 철회 또는 정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액트팀은 "두산에너빌리티 입장에서는 기존과 달라지는 것이 없고 기존 안대로 밥캣을 로보틱스에 빼앗기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그러면서 "에너빌리티가 알짜 자회사 밥캣을 로보틱스에 넘기는 대신 에너빌리티의 부채비율은 분할 전 131%에서 분할 뒤 160%로 치솟게 되고 에너빌리티는 더 이상 밥캣의 배당수익을 향유할 수 없게 된다"며 "에너빌리티 주주들은 분통을 터뜨리는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두산의 주식교환 철회는) 밥캣만 일부러 살려주면서 에너빌리티 주주들을 궁지에 빠뜨리려는 계책으로 보인다"고 꼬집었다.

액트팀은 "이사회를 다시 소집해 개편안을 즉시 중단하라"고 요구하는 동시에 "다수의 국회의원이 두산밥캣 방지법을 발의한 상태인데 이를 무시하고 강행하는 것은 국회마저 무시하고 우롱하는 처사"라고 주장했다.

[스트레이트뉴스 함영원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