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자산 선호에 장내 금 현물시장 거래↑
10월까지 거래량 ‘23년 전체 대비 33% 초과

KRX금시장의 장점. 홍보대사 배우 진선규. 한국거래소 제공.
KRX금시장의 장점. 홍보대사 배우 진선규. 한국거래소 제공.

전세계적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와 금리인하 기조에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수요가 폭발하고 있다. 대표적인 장내 금 현물시장 중 하나인 KRX금시장도 올해 거래량과 거래대금리 급증했다.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 들어 10월까지 KRX금시장 거래량은 18.4톤, 거래대금은 1조9634억원으로 ‘23년 전체 대비 각각 33%, 74% 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거래소는 그 원인으로 ▲중동, 우크라이나 등 지정학적 긴장 증가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미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기조에 따른 달러 하락 대비 헷지수단으로 금시장 투자 증가 등을 꼽았다.

거래소 측은 “각국 중앙은행은 1분기 기록적인 금 매입(290톤) 이후에도 잠재적인 금융불안을 우려하며 금 순매수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며, “미국 대선을 앞두고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금은 현재의 불안정한 경제 환경에서의 최고의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KRX 금시장은 상해(SGE), 이스탄불(BIST)과 함께 대표적인 금 현물시장으로, 금을 주식처럼 사고팔 수 있는 국내 유일의 장내 시장이다. 2014년 3월 24일 문을 열었다. 시중의 민간 귀금속사업자들이 운영하는 유사상호업체와는 구분된다. 금융투자업자는 일반회원, 귀금속사업자는 자기매매회원으로 회원 가입 가능하다.

현재 금 1kg 및 100g(미니금) 두 종목이 상장되어 있으며, 일반 투자자는 증권사와 선물사을 통해 금현물 계좌 개설 후 1g 단위 소액으로 금 거래를 할 수 있다. 현재 참여중인 증권사는 KB, NH, SK, 대신, 미래에셋, 삼성, 신한, 유안타, 키움, 하나, 한국투자, 현대차 등 12개 사이며, 선물사로는 유진투자선물이 유일하다.

KRX 금시장을 통하면 한국조폐공사가 인증한 순도 99.99%의 금을, 국제시세에 근접한 합리적인 단일가격(매수가격=매도가격)에, 주식처럼 증권사 MTS 및 HTS를 통해 1g 단위로 매매 가능하며, 매매차익에 대한 세금 부담이 없으며, 매수한 금은 안전하게 보관될 뿐 아니라 현물 인출도 가능하다. 특히 양도소득세.배당소득세(15.4%) 비과세 및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에서 제외돼 세금 부담도 없다. 단 장내매매시에는 부가세가 면제되지만, 현물 인출 시에는 부가세(거래가격의 10%)가 부과된다.

[스트레이트뉴스 장석진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