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금융권 2021년 11월 이후 최대폭 증가
서민대출 등 급증…연체율 관리 비상
10월 가계대출 옥죄기에 5대 시중은행 증가분은 1조원대에 그쳤지만, 금융권 전체로는 6조원 가량 늘어 풍선효과가 나타났다. 지방은행, 인터넷은행, 2금융권 등으로 확산되면서 시중은행 대비 차주의 신용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금융권의 대출이 늘어 연체율 관리에 비상들이 켜졌다. 특히 2금융권 가계대출 증가폭은 약 3년만에 최대인 2조원대를 기록, 고민이 커지고 있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기준 10월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잔액이 9월보다 약 6조원 늘어났다.
금융권 전체로는 9월부터 시작된 스트레스DSR 2차 시행 임박에 따라 지난 8월 9조8000억원 늘어 3년 1개월만에 최대폭 증가를 기록했으나 9월에는 증가액이 5조2000억원으로 급감했으나 한달 만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선 셈이다.
다만 대출처가 바뀐 것이 변화의 핵심이다.
10월말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은 9월말보다 1조1141억원 증가에 그친 반면, 나머지 5조 가까운 대출이 인터넷은행, 지방은행, 제2금융권 등에서 이뤄졌다. 무엇보다 2금융권 가계대출은 2조원 넘게 늘어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2021년 11월 3조원 이후 최대폭으로 당시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 폭 5조9000억원 중 절반 이상을 2금융권이 차지했던 것을 감안하면 놀라운 증가세다. 2금융권 가계대출 증가 폭 중 절반가량은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권에서 늘어났다.
시중은행들이 금융당국의 기조에 맞춰 가계대출 축소를 위해 금리 인하에 역행하는 대출금리 정책을 고수한 반면 상호금융권이 집단대출(중도금·잔금대출 등)과 주택담보대출을 늘린 결과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그동안 고금리 상황에서 조달 경쟁력이 약화돼 실적이 급감했던 저축은행들이 최근 수신 부문을 공격적으로 늘리며 동시에 대출 영업 강화로 돌아서고 있는 만큼 향후 이러한 기조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당국이 1금융권에 이어 2금융권 가계대출 관리 강화에 나서면서 향후 추이는 관찰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처럼 당국이 금융권 전반에 걸쳐 가계대출을 조이는 상황이 이어지면서 급전이 필요한 서민들은 이자가 훨씬 높은 카드록과 보험약관대출, 신용대출 등으로 몰려가는 풍선현상으로 차주들의 부실 가능성은 더 커지고 있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금융 수요는 시장에서 자연스레 결정되는 것이고 돈을 구하지 못한 중저신용자들은 더 악화된 조건으로 대출에 나설 수 밖에 없다”며, “이는 기본적으로는 차주의 상환불능으로 이어지고 궁극적으로는 연체율 상승으로 금융권 전반에도 좋지 않아 당국의 과도한 시장 개입에 대해 검토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장석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