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당기순익 9399억원 호실적... 보험손익 5572억 +46%
보장성보험 비중↑건강보험 약진...건강보험사업부 신설
교보생명이 보장성보험 포트폴리오를 강화하며 보험손익을 끌어올렸다.
교보생명은 지난해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 9399억원(별도 기준)의 호실적을 올렸다. 전년 동기(7428억원)와 비교하면 26.5% 늘어난 수치다. 눈에 띄는 것은 보험손익 개선세다. 세전이익 가운데 보험손익이 5572억원으로, 전년 동기(3814억원) 대비 46% 급증했다.
보험사의 영업이익은 크게 보험손익과 투자수익으로 나뉘는데, 보험손익은 보험영업수익에서 보험서비스비용을 차감한 금액을 말한다. 새 국제회계기준(IFRS17) 도입으로 보험손익은 보험사업 자체 이익을 나타내는 구조로 보다 명료해지며 보험영업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다.
회사 측은 보험영업 부문 호실적의 원인을 건강보험을 비롯한 보장성보험 포트폴리오를 강화에서 찾고 있다. 실제 지난해 교보생명 포트폴리오 가운데 보장성보험 비중은 크게 늘어난 가운데 특히 건강보험의 비중도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작년 한 해 동안 교보생명의 보장성보험 신계약 월납 규모는 전년 대비 60% 가량 증가했다. 특히, 종신보험뿐만 아니라 암∙뇌∙심장질환 등을 보장하는 건강보험의 신계약 월납 규모도 전년 대비 150% 가량 늘어 보험손익 증가세에 기여했다.
교보생명은 지난해 건강보험 상품을 연이어 출시했다. 암보험, 뇌∙심장보험, 종신보장 건강보험, 맞춤형 종합건강보험, 유병자보험, 암간병평생보장보험 등 건강보험 상품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했다.
특히, 지난해 7월 출시한 교보암∙간병평생보장보험은 6개월간 약 3만2000여 건(유병자보험 포함)이 판매되기도 했다.
보장성 포트폴리오 강화로 보험계약 유지율도 대폭 개선됐다. 지난해 상반기 말 기준 직전 1년간 13회차 유지율은 88.7%로 2023년 말 대비 10%p 이상 상승했다. 13회차 계약 유지율은 보험 가입 후 매월 보험료 납입이 13회 이상 이뤄진 계약의 비중이다. 1년 이상 납입으로 유지율 안착을 가늠하는 기준으로 받아들여 진다.
최근 생명보험업계가 단기납 종신보험 환급률, 보험계약마진(CSM) 산정 관련 규제 강화의 영향으로 건강보험 시장에 집중하는 가운데, 교보생명도 올해 종신보험뿐만 아니라 건강보험 경쟁력 강화에 초점 맞춰 건강보험 상품 라인업을 강화 예정이다.
이를 위해 지난달 중순 경영조직 개편을 통해 상품마케팅실 산하에 별도의 건강보험사업부(건강보험상품담당)를 신설했다. 단순한 상품 출시를 넘어 건강보험 상품 전략부터 상품 개발 및 마케팅까지 전 과정에서 차별화를 지향한다.
한편 경영조직 개편 이후 건강보험 출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달 23일 치매 치료여정별 맞춤 보장을 돕는 ‘교보치매∙간병안심보험’을 선보였으며, 최근에는 종신보험에 3대질환 특화보장을 강화한 ‘교보3밸런스보장보험’을 내놨다.
[스트레이트뉴스 장석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