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으로 수입되는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명확히 하자 국내 자동차업계가 대응 방안 마련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부과 예정인 관세요율을 판매가격에 반영하는 것과 현지 생산라인을 확대하는 것 중 어떤 방안이 이익인지 판단을 내리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관세 10% 부과 정도로 예상하며 대응책 마련을 해오던 국내 자동차업계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19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오는 4월 2일에 '25% 정도'의 자동차 관세를 부과한다는 방침을 발표할 예정이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그들(기업들)에게 (미국에 투자하러) 들어올 시간을 주고 싶다. 미국으로 와서 여기에 공장을 세우면 관세가 없기 때문에 약간의 기회를 주고 싶다"고 말했다. 이는 관세 발효 전까지 관련 기업들이 생산 거점을 미국으로 옮길 시간적 여유를 허용하겠다는 점을 시사한 것으로 파악된다.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서 판매한 170만8293대 중 101만5005대(59.4%)는 국내에서 생산한(현대차 63만7638대, 기아 37만7367대) 차량이다. 한국지엠은 지난해 49만9559대를 판매했는데 이중 미국으로 수출한 물량이 41만8782대로 약 84%를 차지했다. 이와관련,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자동차 수출액은 707억8900만달러로, 이중 미국 수출금액은 347억4400만달러로 49.1%를 차지했다.
앞서 현대자동차그룹은 트럼프 대통령 당선 때부터 예고된 관세에 대응할 전략 마련 차원에서 현지 생산 확대를 검토해 왔다.
현대차그룹은 전기차 생산 전용공장인 미국 조지아주의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의 생산 능력을 연 30만대에서 50만대로 높일 계획이다. 여기에 앨라배마 공장(35만6100대), 기아 조지아 공장(34만대)에 생산라인을 추가해 현지 생산물량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현대차그룹은 미국의 생산물량 확대와 관련해서는 노동조합과 생산량에 대한 합의를 해야만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자칫 노조의 강경투쟁의 빌미로 작용할 수 있어 고민이 깊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기아 김승준 재경본부장은 지난달 2024년 실적 발표 콘퍼런스 콜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보편관세 부과 정책과 관련해 "단기적으로는 관세만큼 추가 부담이 생기겠지만 장기적으로 가격 인상이나 생산지 조정 등을 통한 대비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해 기준 생산 물량의 약 84%를 미국에 수출한 한국지엠은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 등의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국지엠 관계자는 "한국 자동차에 대한 관세율 부과임이 확정되지 않은만큼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면서 "미국 본사와 한국 정부 등과의 협의를 통해 대책마련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현대차그룹은 현지 생산물량을 늘려서 대처할수 있는 여력이 그나마 있지만 한국지엠은 심대한 타격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민관협력으로 대미 협상력을 높여서 국가 간 주고 받기를 잘해야 된다"고 말했다.
[스트레이트뉴스 함영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