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백악관이 한국시간으로 3일 오전 5시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 관세를 발표하며, 발표 즉시 효력이 발생한다고 밝혔다. 일부에서는 모든 국가에 일률적으로 20% 단일관세를 부과해, 미국 정부가 협상력을 극대화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 10곳 중 6곳이 영향을 받을 수 있어 관련 대책이 시급하다는 분석이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1일(현지시간) 언론 브리핑에서 “관세 발표는 내일(2일) 있을 것이고, 즉시 발효될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은 오랫동안 이 사실을 알려왔다”고 말했다.
레빗 대변인은 “모든 산업 분야에서 미국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막대한 무역적자를 줄이며 궁극적으로 미국의 경제와 국가 안보를 보호할 것”이라며 “기업들이 미국에서 투자하고 생산‧제조를 이전하면 관세가 전혀 부과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상호 관세 발표 이후 미국과 교역 대상국 간 협상 과정에서 절충안이 나오더라도 관세가 줄어들 수는 있어도 완전히 면제되는 무관세는 미국에서 제품을 생산할 때만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상호관세에 대한 세부 내용은 아직 베일에 가려진 가운데, 백악관이 20% 단일세율을 검토하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이어지고 있다. 뉴욕타임스를 비롯해 유력 매체들은 백악관이 미국의 거의 모든 수입품에 대해 단일관세 20%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앞서 국내 제조기업 10곳 중 6곳이 관세 위험에 직간접적으로 노출돼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제조업체 2107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해 발표한 ‘우리 제조기업의 미 관세 영향 조사’에 따르면 국내 제조기업 60%가 미국 관세정책에 영향을 받는다고 응답했다. ‘간접 영향권에 있다’고 답한 기업은 46%, ‘직접 영향권에 있다’는 응답은 14%였다.
업종별로 보면 배터리 85%, 자동차·부품 81%로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반도체 70%, 의료정밀 69%, 전기장비 67%, 기계장비 66%, 전자·통신 65% 순이었다.
이들은 미국의 새 관세정책으로 ‘납품물량 감소’(47%)를 가장 많이 우려했다. 이어 ‘고율 관세로 인한 수익성 악화’(24%), ‘미국시장 내 가격경쟁력 하락’(11%), ‘부품·원자재 조달망 조정’(10%), ‘납품단가 하락’(6%) 등을 걱정했다.
미국의 새 관세 정책 영향을 받는 기업은 ‘미국 수출기업에 부품·원자재 납품하는 기업’(24%)과 ‘미국에 완제품 수출하는 기업’(22%)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이어 ‘제3국(중국·멕시코·캐나다 제외) 수출 및 내수 기업’(18%), ‘미국에 부품·원자재 수출 기업’(14%), ‘중국에 부품·원자재 수출 기업’(14%) 순이었다.
하지만 기업들의 대응은 상대적으로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관세정책에 대한 대응 수준을 묻는 질문에 ‘생산 코스트(비용) 절감 등 자체 대응책을 모색 중’인 기업이 29%, ‘현지 생산이나 시장 다각화 등을 모색 중’인 기업이 4%로 합쳐도 3분의 1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절반 가량인 46%는 ‘동향 모니터링 중’이었고, ‘대응 계획 없다’고 응답한 기업도 21%로 10곳 중 7개 기업은 관망하거나 대책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이트뉴스 박응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