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中관세 145%→30%...대美관세 125%→10%
미·중 관세합의…”다른 나라 합의 물꼬” 가능성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백악관 홈페이지 캡처.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백악관 홈페이지 캡처.

100%대 관세 부과를 통해 실질적인 통상거래 금지에 가까운 강경한 기조를 보였던 미국이 중국과 갑자기 손을 잡았다. 중국과의 무역 전명 중단이 오히려 자국 경제를 흔들고 환율이 급락하며 불안을 야기하자 다급해진 미 정부가 중국에게 손을 내민 결과다. 이번 합의가 타국과의 협상에서도 미국이 강경한 자세를 누그러뜨릴 시발점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2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만난 미국과 중국 양측이 고위급 무역협상을 통해 각각 상호관세를 당초 예상보다 115%p씩 낮추기로 합의했다고 외신이 전했다.

그 결과 미국의 대 중국 관세는 당초 145%에서 30%로, 중국의 대 미국 관세는 125%에서 10%로 내려가게 됐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 이후 양국이 만나 현안을 논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이 전세계를 향한 관세 포화를 난사하는 가운데, 중국에 대한 미국의 공세 수위가 가장 높았으나 뜻밖에 중국이 강경한 저항을 보이자 오히려 미국이 고개를 숙였다는 평가가 나온다.

국내 한 경제연구기관장은 “기본적으로 다른 나라에 상호관세 몇십%씩을 부과하는게 말이 되지 않고 (미국이) 일을 벌이고 나서 오히려 자신들이 가장 큰 피해를 보는 상황이 되자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갔다”며, “중국 입장에서도 여러가지 경제적 어려움이 있는 상황에서 숙이고 들어오는 미국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선 미국과 영국간 합의는 가장 순쉬운 대상과의 합의여서 큰 의미가 없었다”며, “이번 합의로 미국이 다른 국가와의 합의에서도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쉽지 않게 됐다”고 덧붙였다.

한미FTA를 맺은 한국 입장에서도 너무 서두르기 보다 상황을 지켜보는 지혜가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시각이다.

한편 이날 코스피는 미중간의 화해 무드 조성과 함께 삼성전자가 전 거래일 대비 5.11% 상승한 5만7600원에 오르는 것에 힘입어 2607.33(+1.17%)으로 마감해 종가 기준으로 3월 27일 이후 처음으로 2600선 탈환에 성공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장석진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