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등급 하향 조정 이유로 “연방정부 부채 급증” 지적

무디스 홈페이지 화면.
무디스 홈페이지 화면.

세계 3대 신용평가사 중 하나인 무디스(Moody’s)가 미국의 국채 신용등급을 강등한 가운데, 이번 결정의 배경으로 누적된 재정적자와 급증하는 연방정부 부채 규모를 지목했다. 

16일(현지시간 기준) 주요외신 보도에 따르면, 1917년 이후 유지해오던 ‘AAA’ 등급이 ‘Aa1’로 한 단계 내려간 것이다. 이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2011년, 피치(Fitch)가 2023년에 각각 미국 신용등급을 강등한 데 이어 세 번째이자 마지막 조치다.

무디스는 “10년 넘게 증가해온 미국의 정부 부채와 이자지급 부담이 유사 등급 국가들과 비교해도 매우 높은 수준”이라며 “미국의 재정 건전성이 근본적으로 훼손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향후에도 연방정부의 차입 수요는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고, 그 자체가 경제 전반에 부담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정치적 불안정성도 등급 하락의 결정적인 원인이다. 무디스는 지난해 미국이 디폴트 위기를 겪었던 부채한도 협상 실패와,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의 사상 초유의 해임 사태 등 정치적 혼란을 언급하며, “정책 결정 과정이 더 이상 안정적이지 않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무디스는 “미국의 신용등급 전망은 ‘안정적’(Stable)이라고 평가했다. 연방준비제도의 독립성과 역사적으로 검증된 통화정책 운용 능력, 삼권분립 등 제도적 안정성은 여전히 높게 평가된다”는 설명이다.

이번 등급 강등은 미국 금융시장을 넘어 전 세계 시장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우선 미국 국채 금리가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신용등급 하락은 채권 투자자에게 더 높은 이자 보상을 요구하게 하므로, 국채 금리 인상이 상승하게 되면 금융조달 비용이 올라가고 이는 기업 부담이 커지는 연쇄 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 

투자자 신뢰 약화로 달러화 위상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일부 글로벌 투자기관이 포트폴리오를 재조정하고 안전자산 다변화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한편 미국 내 정치 불확실성과 재정 악화 흐름이 지속된다면, 향후 추가 강등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무디스는 “세수 확대 또는 지출 축소 없이는 ‘AAA’ 등급 복귀는 어렵다”고 강조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추진 중인 대규모 감세 정책과 복지 축소안은 재정 건전성 회복에 역행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